30대그룹 비업무용 부동산 30조 돌파…삼성 가장 많이 늘어

입력 2015-05-06 09:03
경기 침체와 부동산 시장 불황에도 국내 30대 그룹이 보유한 비업무용 부동산 규모가 2년 새 15%나 늘어 30조원을 돌파했다.

삼성, 포스코, 현대, 현대차 등 12개 그룹이 비업무용 부동산 투자를 늘렸고 GS, CJ 등 16개 그룹은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30대 그룹 278개 계열사의 비업무용 부동산 장부가액 현황(총액)을 조사한 결과, 2012년도 27조6100억원에서 2014년도 31조6500억원으로 2년 새 4조400억원(14.6%) 증가했다.

이는 주요 대기업들이 재테크 수단으로 여전히 부동산 투자를 선호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비업무용 부동산 투자액은 건물과 구축물, 해외를 포함한 부동산, 건설 중인 자산 등이 해당하며, 사업보고서에 기재된 장부가액을 기준으로 집계했다.

지난 2년간 비업무용 부동산 투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대기업 집단은 삼성그룹으로, 2012년 5조9000억원에서 지난해 7조5000억원으로 1조6000억원(28.0%) 증가했다.

투자액 대부분은 삼성생명보험이 차지했다. 삼성생명은 초저금리 기조를 극복하기 위해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5800억원과 7500억원을 들여 영국과 중국 소재 빌딩을 매입하며 부동산 대체투자에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이다.

비업무용 부동산 장부가액 규모로는 삼성이 2014년 말 기준 7조5400억원으로, 30대 그룹 전체 비업무용 부동산 투자액의 23.8%를 점했다. 2위인 한화그룹(3조5000억원)보다 배 이상으로 많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