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과거사 사죄 없는 미국 의회 연설 등으로 악화된 한·일관계가 조선인 강제징용이 벌어졌던 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문제로 더 악화될 전망이다.
이번에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유력한 일본의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은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의 야하타제철소, 나가사키현의 나가사키조선소(미쓰비시중공업), 미쓰비시 해저탄광이 있던 하시마(일명 ‘군함도’) 등 모두 23개 시설이다. 나가사키조선소 등 일부 시설은 현재도 가동 중이다.
이들 시설 중 하시마 탄광과 나가사키조선소 등 7곳은 2차 대전 당시 조선인 약 5만7900명이 대규모 강제 동원된 곳이다. 전쟁 당시 군함을 만드는 기지였던 나가사키조선소에서는 조선인 약 4700명이 강제 징용됐으며, 이들 중 약 1600명이 원자폭탄 투하 당시 숨졌다. 나가사키에서 남서쪽으로 18㎞ 떨어진 하시마 탄광도 조선인 600명이 강제 동원돼 섭씨 40도까지 치솟는 해저 탄광 갱도에서 하루 12시간씩 지옥 같은 노동을 했던 곳이다. 이 섬에서 일하거나 탈출하다가 숨진 조선인만 122명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본 정부의 등재신청서에는 이런 내용이 쏙 빠져 있다. 일본 정부는 강제 징용 등 논란을 피하기 위해 8개현에 분산돼있는 23개 시설을 일괄 추천하는 것은 물론 등재 기준의 시기도 한·일병합조약이 맺어진 1910년까지로 제한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시마 탄광과 이와테현의 하시노철광산은 직선거리로만 약 1300㎞ 떨어져 있다. 이처럼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시설들이 일괄 추천된 경우는 드물다.
일본 정부는 “메이지 시대 산업 유산과 2차 대전 당시 강제 징용은 다른 문제”라며 일괄 추천 배경에 대해 일련의 유산을 함께 살펴야 그 가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특정 시점만 떼어내 역사의 긍정적인 면을 부각하고 그 이후 전개된 어두운 역사를 숨기는 것은 결국 ‘역사 왜곡’과 다를 바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최종 결정이 이뤄지는 7월 초까지 나머지 20개 세계유산 위원국들에 ‘강제 노동이 자행됐다는 역사적 사실을 외면한 채 산업혁명 시설로만 미화해 세계 유산으로 등재한다는 것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계속 전달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가 유네스코에 권고한 뒤 뒤집히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또 한 번 외교전에서 실패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 앞둔 日조선인 강제징용시설 두고 한일 역사 갈등 2탄 예고
입력 2015-05-05 1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