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여 만에 개최한 4일 청와대수석비서관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꺼낸 첫 메시지는 부패척결과 정치개혁이었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야기된 정치권의 부패관행을 “정치인과 정치가 국민 염원을 거스르는 것이자 개인의 영달과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라 질타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부정부패와 정경유착 고리를 끊겠다고 밝히면서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낡은 정치를 국민이 원하는 정치로 바꿔야 한다”는 등 단호한 언어를 사용했다. 설사 성완종 리스트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로 자신의 2012년 대선캠프와 여당 일부 정치인이 ‘다친다’할지라도 부정부패와의 전면전에 나서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주 순방 직후 짧게 표명한 입장을 통해서도 이 사건을 “정경유착이 본질”이라고 부연한 바 있다. 청와대 역시 성완종 리스트 파문을 “비리 정치인의 잘못된 구명로비”이라고 규정해왔다.
이날 회의에서도 박 대통령은 “(성완종 리스트 사건은) 과거부터 지속돼온 부정과 비리, 부패를 척결하는 정치개혁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우리 국민들에게 큰 상처를 준 유병언 일가 사건과 이번 사건도 (우리 사회가) 비정상적인 사익 추구를 오히려 정당하게 만들어주면서 그것을 방조해왔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박 대통령은 “오랜 세월이 흘러서 적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서 결국 국민에게 큰 피해를 주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며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서라도 결코 그런 일을 방조하거나 권력의 힘을 빌어 다시 회생하도록 만들어주지 않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재차 “정치개혁만이 (이런 사건들을)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그런 국민의 뜻을 정치인들과 정치가 받아들이는 것이 해답”이라고 했다. 이 언급은 자신의 정치개혁 의지에 대해 야당이 성완종 파문 ‘물타기’라 공격한 것도 염두에 둔 듯했다. 여야 가릴 것 없이 지금의 정치를 바꾸는 데 앞장서지 않는다면, 그리고 이 과정에서 비리에 연루된 정치인이 나온다면, 행정부 수반이라는 불편부당한 입장에 서서 척결하겠다는 수사(修辭)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은 사건 수사를 맡은 검찰을 향해서도 정치권의 눈치를 보지말고 철저하고 공정하게 수사하라고 독려했다. 박 대통령은 “검찰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사건에 대해서 그 어떤 의혹이든 부정부패는 반드시 도려내겠다는 각오로 한 치의 흔들림 없이 전력을 다해서 국민의 뜻에 부응해야 한다”고 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박근혜 대통령 첫 메시지는 ‘부패척결’… 정치개혁 전면전
입력 2015-05-04 1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