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4일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노무현정부 시절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 대한 특별사면 의혹의 진상규명과 사면권 개선 의지를 밝히자 “무책임의 극치”라며 발끈했다.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일말의 책임감도 느낄 수 없는 대통령의 말씀”이라며 “측근들의 권력형 부정부패가 마치 특별사면 때문에 비롯된 것처럼 사면권 개선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한 것은 본질을 왜곡하려는 의도로 의심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자신은 조금의 결점이나 잘못도 없고, 모든 잘못은 과거 정치 때문이라는 대통령의 태도는 무책임의 극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새정치연합은 특히 박 대통령 측근들이 ‘성완종 리스트’ 의혹에 연루돼 있으며, 대통령이 공식 사과를 하지 않았다는 점을 공격의 포인트로 삼았다. 현 정부를 ‘무책임하고 부도덕한 정권’으로 몰아 특사 논란을 적극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재보선 패배 이후 문재인 대표의 책임론이 계속 불거지는 상황에서 청와대와 여당이 ‘성완종 특사’ 문제로 야당을 공격할 빌미를 주지 않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새정치연합은 여야가 지난 1일 합의한 공무원연금 개혁안에 대해서는 ‘갈등해소의 모범적 사례’라고 추켜세웠다. 여야 합의에 대한 청와대의 강력한 반발이 이어지는 가운데, 여당 내부에서도 개혁안 합의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고조되자 ‘합의 굳히기’에 적극 나선 것이다. 만약 오는 6일 본회의에서 공무원연금 개혁안이 통과된 뒤, 새누리당이 국민연금 강화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면 새정치연합은 곤란한 상황에 처하기 때문이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합의서) 잉크도 마르기 전에 여야와 공무원단체의 사회적 합의를 훼손하거나 뒤집으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우 원내대표는 “국가적과제를 대타협기구를 통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낸 것은 우리사회 갈등해결에 모범적 사례가 될 것”이라며 “합의대로 실천하는 것이 국회에 남겨진 과제”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표도 “이해관계자들의 사회적 합의를 통한 제도개혁은 우리사회가 가야 할 사회적대타협의 무대를 보여줬다”고 자평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김영록 새정치연합 대변인 “대통령의 태도는 무책임의 극치”
입력 2015-05-04 1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