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피가 필요하다” 野, 고강도 쇄신 및 인재영입 검토

입력 2015-05-03 07:32

4·29 재·보궐선거에서 충격의 참패를 당한 새정치민주연합이 강도높은 쇄신책 마련에 나섰다.

'성완종 파문'이라는 호재에도 수도권에서 여당에 속수무책으로 당했을 뿐 아니라 안방인 광주마저 무소속 천정배 후보에게 내주게 되자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천 의원이 호남 신당 가능성을 열어놓은 만큼 호남 민심을 잡기 위해서라도 고강도 쇄신과 인재영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따라 새정치연합은 혁신작업을 전담할 가칭 쇄신위원회를 구성하는 방안을 대표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위원장 등을 외부 인사로 구성, 독립 기구로 둬야 한다는 주장도 함께 나온다.

이와 함께 재보선 패배의 원인을 평가·분석하는 기구를 신설하자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비슷한 맥락에서 공천개혁 방안도 내년 총선을 1년 앞두고 위기에 빠진 새정치연합으로서는 주요 쇄신 과제 중 하나다.

이번 재보선에서 전략공천을 배제했지만 오히려 이 탓에 전지역 경선원칙이 지역위원장들에게만 유리한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도 많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여당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당론으로 채택, 미적지근한 공천제를 고수해서는 자칫 혁신경쟁에서 밀리는 모습으로 비쳐질 수도 있어, 문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조만간 공천제 보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처럼 다양한 쇄신안이 쏟아지고는 있지만, 문 대표가 얼마나 강력하게 개혁을 밀어붙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선거 패배에 따른 후유증으로 지도부 책임론이 불거진 상황에서 강력한 리더십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오히려 지금은 거창한 쇄신 움직임보다는 조직 안정을 최우선으로 한 '조용한 혁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여기에 당내에서는 매번 쇄신을 약속하고도 말로만 그쳤듯이 이번에도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는 자조 섞인 푸념이 나와 지도부의 발걸음을 무겁게 하고 있다.

양승조 사무총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우리가 늘 쇄신을 약속해 왔음에도 선거에서는 패배가 반복됐다. 참담한 심정"이라며 "이번에야 말로 모든 것을 걸고 환골탈태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