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재·보궐선거 참패의 후폭풍에 직면한 새정치민주연합 안팎에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야권연대론’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불가 입장을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통합진보당의 종북 논란을 계기로 야권연대를 뿌리치고 독자 선거를 치렀지만 결과는 필패였음이 여실히 드러났기 때문이다.
특히 '천정배 신당'의 출현이 출현할 경우 전국 곳곳에서 야권분열 속에 후보 난립이라는 상황에 마주할 수 밖에 없다. 수도권이 더욱 그러하다.
물론 당 관계자들은 야권내 다른 세력과 다시 손을 잡게 되더라도 옛 통합진보당 인사들은 원천적 배제대상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동안 새정치연합의 발목을 잡았던 '종북 프레임'에 다시는 휘말리지 않겠다는 것이다.
다만 천정배 의원발(發) 호남신당의 실제 현실화 여부와 정동영 전 의원의 '국민모임' 및 정의당을 비롯한 진보진영의 재편 추이 등 야권 새판짜기가 어떤 식으로 흘러가느냐에 따라 연합의 방식과 그 폭도 달라질 수밖에 없어 현재로선 유동성이 큰 상황이다.
현 시점에서 연대 문제를 논하는 것 자체가 시기상조라는 반론도 없지 않다.
이번 선거 실패의 원인을 야권 분열로만 돌릴 것이 아니라 근본적 당 체질 개선 등을 통해 힘을 키우는 게 선행돼야 한다는 '자강론'도 무시할 수 없다.
실제 성남 중원 보궐선거만 하더라도 새정치연합 정환석, 옛 통합진보당 출신의 김미희 후보 득표율을 합쳐도 새누리당 신상진 의원에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나는 등 선거를 겨냥한 '기계적 이합집산'이 능사는 아니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벌써부터 야권연대론 솔솔?” 천정배 신당 가능성 속 수도권 후보 난립 위기감
입력 2015-05-03 0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