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서 이기고 전쟁서 질 수 있다?” 與, 영남권 물갈이론 본격 점화?

입력 2015-05-02 10:27

새누리당은 4·29 재·보궐선거에서 압승을 거뒀지만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적 안방'인 영남을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절대적 강세 지역인 광주 서을과 서울 관악을에서 충격적인 패배를 당하는 것을 지켜본 상황이라 여당의 텃밭인 경상도도 과감한 정치 개혁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실제 지난해 PK(부산·경남) 광역 단체장 선거에서는 야권 후보가 턱밑까지 추격해 당선을 위협하고, TK(대구·경북) 정서도 무조건 찍어줬던 예전 정서와 확연히 달라졌다. 자칫 현실에 안주할 경우 '졸면 죽는다'는 얘기가 우스갯소리만은 아닌 셈이다.

김 대표와 당 보수혁신특위를 중심으로는 국민에 공천권을 부여하는 완전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를 통해 경쟁을 유도하고 정치 혁신을 선도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다.

그러나 수도권을 중심으로는 오픈 프라이머리와는 별도로 인적 쇄신, 즉 '물갈이'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이는 영남권 의원들의 시각과 전혀 다른 것으로서 내년 4월이 가까워질수록 당내 갈등의 씨앗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당 일각에서는 탄핵 역풍이 불었던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공천을 '벤치 마킹'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당시 쇄신 바람이 불면서 5·6공 인사들을 대폭 물갈이해야 한다는 요구가 거셌다. 결국 불출마 도미노가 이뤄지면서 36%의 현역 의원이 교체됐고, 개헌 저지선 밑으로 의석 수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121석을 차지하며 기사회생했다.

지난 2월 새누리당 의원 가운데 내년 총선에 가장 먼저 불출마를 선언한 것도 대구 수성갑이 지역구인 이한구 의원이다.

반면 영남권의 한 다선 의원은 "경상도가 옛날 같지 않아서 위에서 찍어 내리는 전략공천을 했다가는 다 죽는다"면서 "정권 재창출을 하려면 총선에서 이겨야 하고 그러려면 관록 있는 인물이 지역에서 버티며 노·장·청의 조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반박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