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산림 녹화를 위해 사망자들의 매장(埋葬)을 통제하고 화장을 장려하고 있다고 1일 북한전문매체인 데일리NK가 1일 보도했다.
그러나 북한주민들에겐 화장은 아직 생소해 평양시를 비롯한 함흥과 청진 등 일부지역의 한 두 곳에서만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그마저도 비용이 너무 들어 일반 주민은 엄두도 내지 못한다고 소식통이 말했다.
한 소식통은 “평양시에서도 화장하려면 이틀 전에 미리 신청해야 하고 차량이 없어 가족측에서 운구차량을 구해야 한다”며 “화장하는데 디젤유 30kg을 포함한 수십만 원의 비용이 드는데다가 화장터 직원식사까지 보장해야하는 번거로움까지 겹친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주민들은 ‘옛날 나라 없던 시절 백성들은 죽어 묻힐 땅이 없다 했는데 지금이 그 꼴’이라며 당국의 처사를 우회적으로 비난한다”고 말했다.
만만치 않은 비용 탓에 주민들이 당국의 단속을 피해 야산에 사망자들을 안장(安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죽어 묻힐 땅이 없다?” 北주민, 비싼 화장 비용, 매장 통제에 탄식
입력 2015-05-01 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