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이엽우피소 안전성 확인 안돼 식용 금지… ‘백수오 대용’ 위험

입력 2015-04-30 11:14
방송화면 캡처

백수오와 이엽 우피소는 외양상 큰 차이가 없어 겉모양으로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백수오는 3∼4년 전부터 갱년기 여성에게 산삼과 견줄만한 약재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갱년기 여성에게 주로 나타나는 안면홍조, 발한, 손발 저림, 불면증, 신경과민 등의 증상을 완화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크게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이엽우피소는 국내에서 안정성이 입증되지 않아 식용은 물론 약재로도 사용할 수 없다. 단, 이엽우피소가 혼입된 제품을 먹었다고 해서 인체에 해가 가는 것은 아니라는 게 보건당국의 판단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아직 사용 실태에 대한 자료가 없어 이엽 우피소를 식품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며 “한국독성학회 자문 결과 등을 종합할 때 이엽 우피소가 혼입된 제품을 섭취해도 인체에 위해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대한한의사협회는 이에 대해 “백수오와 이엽우피소는 모두 약재로 쓰일 수 있다”며 “다만 백수오는 대한민국약전외한약규격집에 등재돼 있지만 이엽우피소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협회는 또 “이엽 우피소도 한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면 분명히 약재로도 쓰일 수 있는 식물이지만, 이엽우피소를 백수오의 대용으로 쓰는 것은 위험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