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사무실), 상가 등 전국 상업용 부동산의 1분기(1∼3월) 투자수익률이 매장용 집합건물을 제외하고 모두 지난해 4분기보다 소폭 하락했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내놓은 ‘1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 조사 결과’를 보면 오피스 건물의 투자수익률은 1.46%로 전분기보다 0.07% 포인트 떨어졌고 중·대형 매장용 상가 건물(3층 이상)은 1.49%로 0.15% 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서울 동대문 패션상가 등에 많은 매장용 집합건물의 투자수익률은 2.09%로 0.45% 포인트 올랐다. 이번 분기에 처음 조사된 소규모 매장용 상가 건물(2층 이하)은 투자수익률이 1.34%로 나타났다.
오피스와 중·대형 매장용 상가 건물의 투자수익률이 낮아진 까닭은 해당 건물들의 자산가치 상승이 둔화한 상황에서 임대료는 올랐지만 공실률 역시 높아져 소득수익률이 지난해 4분기와 비슷했기 때문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투자수익률은 임대료 수입에 따른 소득수익률과 건물의 자산가치 상승으로 인한 자본수익률을 더해 계산한다.
오피스 건물은 연말과 연초에 임대차 재계약이 이뤄지면서 임대료가 ㎡당 1만4800원으로 지난해 4분기보다 0.2% 올랐으나 공급 지속과 공공기관 이전 등으로 공실률도 0.8% 포인트 늘어난 13.5%였다. 소득수익률이 1.20%에서 1.19%로 0.01% 포인트 줄어들었고 자본수익률도 0.33%에서 0.27%로 0.06% 포인트 감소했다.
중·대형 매장용 상가 건물도 내수 경제가 나아지는 모습을 보이면서 임대료가 0.2% 늘어난 ㎡당 3만1800원이었으나 연말 재계약 과정에서 자연적인 공실 발생으로 공실률이 0.2%포인트 증가한 10.5%였다. 이에 소득수익률은 1.24%에서 1.23%로 0.01%포인트, 자본수익률은 0.41%에서 0.26%로 0.15%포인트 감소했다.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국토부 국토교통통계누리(stat.molit.go.kr), 국가통계포털(kosis.kr),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r-one.co.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오피스·상가 수익률 하락…매장용 집합건물은 상승
입력 2015-04-30 1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