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미 의회 상·하원 전체회의에서 합동연설을 한 29일(현지시간) 오전 미 의사당 앞에는 일본의 침략 범죄와 위안부 강제 동원 공개 사과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를 비롯, 워싱턴DC와 버지니아, 메릴랜드 등 인근 지역의 한·미·중 시민단체회원 200여명은 아베 총리의 그릇된 역사관을 한목소리로 규탄했다.
이날 시위에는 워싱턴 정신대대책위원회와 워싱턴한인연합회, 버지니아한인회 등 한인단체 회원들은 물론 미국의 반전단체인 ‘앤써 콜리션’의 브라이언 베커 대표, 아·태지역 2차 세계대전 만행 희생자 추모회 제프리 천 회장, 대만참전용사워싱턴협회 스탄 차이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또 새누리당 국제위원장인 김종훈 의원도 함께했다.
이들은 ‘아베는 말장난을 중단하고 사과하라’, ‘위안부 피해자에게 정의를’, ‘과거를 부정하면 잘못된 역사는 되풀이된다’, ‘HR121(위안부 결의안)은 어디 갔느냐’는 등의 플래카드와 현수막을 들고 아베 총리의 역사 직시 및 사과를 압박했다. 특히 이 할머니는 혼다 의원의 배려로 전체회의장에 입장해 아베 총리의 연설을 직접 지켜봤다.
2007년 미 하원의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을 주도한 마이크 혼다(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위안부 피해여성들에게 사과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말라”고 촉구했다. 혼다 의원은 28일 CNN방송에 기고한 글에서 이같이 밝히고 “나와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가 연설을 직접 지켜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혼다 의원은 “아베 총리로서는 이번 연설이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옳은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면서 “명백하고 논란의 여지 없이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데이비드 우 전 미 의원도 28일 자신의 웹사이트에 게시한 글에서 미국 정부는 아베 총리에게 미·일 상호방위조약이 ‘강제 군 위안부’의 존재 부인 등 모든 ‘도발 행위’ 중단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줘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아직도 2차대전의 기억이 생생한 지역에서 강제 군 위안부로부터 헌법개정에 이르기까지 일본이 짜증나게 하는 것들에 대한 미국의 대응은 “정교하고 강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신화통신이 전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
아베 총리 연설 美의사당 밖에는 사과 요구 시위
입력 2015-04-29 2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