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신두팔초크의 저밀리 람 비커(27·여)씨는 25일 지진으로 아버지를 잃었다. 집에서 기둥을 붙들고 죽은 아버지는 47세였다. 아내와 자식들이 “어서 나가자”고 할 때 그는 “이번에도 조금 있으면 괜찮아질 것”이라며 혼자 집에 남았다고 한다. 비커씨는 “그 집은 아버지가 직접 지은 집이라 애정이 강하셨던 것 같다”고 짐작할 뿐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목수였다.
지진이 난 오후 12시쯤 비커씨는 할머니를 모시고 시내 병원에 가 있었다. 약을 타서 돌아오는 길에 아버지가 집에 깔린 사실을 전해 들었다. 오후 8시쯤이었다. 약은 잃어버렸다.
아버지의 시신은 다음날에야 집 밖으로 나왔다. 아버지의 집은 산 위쪽으로 두 시간을 더 걸어가야 했다. 비커씨의 남편을 비롯한 가족 5명이 맨손으로 잔해를 파헤쳤다. 이웃에게 손을 빌릴 여유는 없었다. 다들 자신의 가족을 파내고 있었다. 아버지를 꺼내기까지는 서너 시간이 걸렸다. 시신은 화장해서 마을 아래 흐르는 강에 재를 던졌다. 강은 이날 내린 비로 불어나 거칠게 흐르고 있었다.
비커씨는 “살면서 이런 지진은 없었다. 원래 땅은 조금씩 흔들렸지만 그러다 곧 괜찮아졌다. 이곳에 사는 모든 사람이 슬픔을 겪었다”고 말했다. 비커씨 가족은 신두팔초크에서 태어나 이곳을 벗어나본 적이 없다. 비커씨는 지금도 이사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했다.
비커씨의 집도 지진으로 주저앉았다. 이 집을 지을 때 아버지가 창문을 만들어줬다. 그 창문은 부서져 돌무더기 속에 묻혀 있었다. 비커씨는 “아버지가 사랑해주신 기억이 많이 난다. 나를 키워주고 먹여주셨다. 옷 선물을 해주신 적도 있다. 그 고마움을 잊을 수 없다”고 했다. 비커에게 안긴 두 살배기 딸이 엄마와 대화하는 기자를 크고 검은 눈동자로 쳐다봤다. 옆에는 이마에 상처가 난 8살짜리 딸이 엄마 옷자락을 잡고 있었다.
이런 일이 났는데 두렵지 않느냐는 질문에 남편 람바둘(25)씨는 “왜 두렵지 않겠느냐. 하지만 그런 두려움이 내게 있어도 아내와 아이들에게는 무서워하지 말라고 격려한다”고 말했다. 그는 3년 전부터 중국 국경에서 옷가지를 떼 와서 마을 상점에 팔아왔다. 중국 국경으로 가는 길은 지진으로 막혔다.
신두팔초크(네팔)=강창욱 특파원 kcw@kmib.co.kr
[네팔 대지진] 아버지 잃은 비커씨의 눈물 “조금만 있으면 괜찮아질거랬는데…”
입력 2015-04-29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