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의 향배를 가를 4·29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성완종 파문’ 이후 민심의 현 주소를 드러내는 선거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대선 전초전 성격도 갖고 있다.
새누리당이 2곳 이상을 가져가며 승리할 경우 초대형 악재 속에서도 선전했다는 점에서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동력을 얻게 된다.
여당 텃밭인 인천 서·강화을뿐 아니라 경기 성남 중원까지 2곳에서 이긴다면 승패 기록으로는 '2대 2'이지만 승리를 선언할 수 있다. 옛 통합진보당 의석이던 성남 중원을 빼앗아 의석을 늘린 셈이기 때문이다.
만약 야권 분열을 디딤돌로 서울 관악을까지 '탈환'해 3승까지 도달한다면 여당으로서는 '대승'을 선언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새정치연합은 '친박 비리게이트' 진상규명 특검 요구 드라이브에 제동이 걸리면서, 정국 주도권을 여당에 넘겨주고 수세에 몰릴 가능성이 크다. 특히 '텃밭'인 광주 서을이나 서울 관악을 중 한 곳에서라도 패배한다면 타격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광주 서을을 내준다면 당의 뿌리인 호남에서 '제1야당'의 입지가 흔들리는 치명상을 입고 거센 후폭풍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당내에서도 선거패배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지도부 체제가 흔들려 극심한 혼돈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새정치연합이 광주 서을과 서울 관악을을 포함해 2곳 이상에서 승리한다면 정부와 여당을 압박하는 데 큰 동력을 확보할 전망이다. 여기에 인천이나 성남 등에서 추가로 승리를 거둬 3승을 기록할 경우에는 '재보선 대승'을 선언할 여건도 마련된다.
이 경우 성완종 파문에 대한 별도 특검과 해외자원개발 비리의혹에 대한 상설특검 등 '쌍끌이 특검' 공세에 더욱 힘이 실리는 것은 물론, 현재 지도부 체제가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각종 현안에 목소리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반면 새누리당으로선 1승만 챙긴다면 기존 의석을 유지한만큼 본전은 건졌다고 '자위'하려 들겠지만, 수도권 민심에는 타격이다. 박근혜 정부의 4대 개혁 등 정책의 추진력이 떨어지면서, 집권 3년차에 조기 레임덕으로 빠질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올 수 있다.
김무성 대표의 리더십도 일정 부분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내년 총선에 대한 의원들의 불안감이 확산하면서 자구책을 찾으려는 의원들의 원심력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새누리당이 성남 중원과 인천서·강화을을 가져가고 새정치연합이 광주 서을과 서울 관악을을 가져갈 경우, 여야는 모두 자신의 승리라고 자평할 가능성이 높지만 사실상의 무승부라는 평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경우의 수 따라 두사람 운명 갈린다?” 김무성-문재인 정치 입지 달라진다
입력 2015-04-28 0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