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팀장 문무일 대전지검장)이 집중하는 날짜는 ‘4월 7일’이다. 수사팀은 정치권 로비의 신빙성을 따지며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사망 직전 행적을 복원하고 있다. 수사팀은 구명운동에 여념이 없던 성 전 회장이 4월 7일 바쁜 일정을 쪼개 윤승모(52) 전 경남기업 부사장을 병문안한 사실에 주목한다.
성 전 회장은 윤 전 부사장을 상대로 2011년 5~6월 홍준표(61) 경남지사에 대한 ‘1억원 로비’ 사실을 재확인했다. 이날(4월 7일) 성 전 회장과 접촉한 측근들은 차례로 수사팀의 부름을 받고 있다. 병문안에 동행했던 박준호(49·구속) 전 상무와 이용기(43·구속) 부장은 지난 21일부터 잇따라 소환됐고 둘 다 ‘긴급체포 뒤 구속’ 수순을 밟았다.
지난 26일과 27일 각각 조사받은 임모(38) 과장, 정모(47) 팀장도 4월 7일 성 전 회장을 접촉한 측근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임 과장은 성 전 회장이 윤 전 부사장을 만나러 가기 전인 아침 7시쯤부터, 정 팀장은 성 전 회장이 병문안을 다녀온 이후인 밤 11시30분쯤부터 서울 청담동 성 전 회장 자택에서 각각 1시간가량 면담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성 전 회장이 윤 전 부사장을 찾아가기 전에 임 과장을 만나 ‘로비 기억’을 점검했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수사팀은 성 전 회장이 윤 전 부사장에게서 ‘홍 지사 로비’를 재확인한 뒤에는 이 사실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정 팀장과 박 전 상무를 불러 대책회의를 한 것으로 본다. 실제로 성 전 회장은 이 대책회의 하루 뒤인 지난 8일 변호인단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결백을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수사팀은 이들이 성 전 회장의 ‘홍 지사 로비’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했다고 보고 어떤 내용으로 면담했는지, 주고받은 자료는 없었는지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 전 회장의 국회의원실 방문객까지 전수조사 중인 수사팀은 임 과장과 정 팀장이 성 전 회장의 의정활동을 보좌한 이력도 눈여겨보고 있다. 성 전 회장이 스스로 정치권에 로비를 했다고 말하는 시기의 동선을 가장 잘 아는 측근이라는 판단이다. 경남기업 관계자는 “성 전 회장의 보좌관까지 지낸 정 팀장이 측근인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성 전 회장의 4월 7일 동선과 닿은 측근들을 대부분 조사한 수사팀은 마지막으로 윤 전 부사장 소환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윤 전 부사장을 상대로 7일 이뤄진 병문안 때 주고받은 대화 내용을 재점검할 방침이다. 앞서 구속된 박 전 상무와 이 부장은 당시 병문안 과정의 대화를 복기하며 윤 전 부사장도 금품 전달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았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부사장은 수사팀에 협조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안팎에서는 홍 지사를 소환해 리스트 의혹의 진상을 규명하는 ‘본론’ 돌입 수순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높다. 수사팀 관계자는 “리스트 의혹 관련 수사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기초공사가 됐다”고 말했다.
정현수 이경원 기자 jukebox@kmib.co.kr
[단독-성완종 리스트 파문] 성완종, 윤승모 상대 ‘홍준표 1억’ 기억 점검
입력 2015-04-27 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