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업 기존 임원 80% 구조조정. ‘내부 고발’ 나올까 주목

입력 2015-04-27 17:38

법정관리를 받고 있는 경남기업이 기존 본사 임원 가운데 80% 이상을 내보내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구조조정 대상이 된 핵심 임원들이 성완종 전 회장의 정치자금 수사에서 결정적 증언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경남기업은 전날 기존 임원진 16명 가운데 하태실(51) 경영기획본부장, 김만홍(54) 건축영업담당 상무보, 정태현(47) 국내현장소장 3명을 남기고 모두 해임 조치했다. 외부에서 임원 2명을 충원하면서 전체 임원 수는 5명으로 줄었다. 사실상 회사 재건을 위한 필수인원만 남긴 채 성 전 회장 당시 임원들을 대부분 내보낸 것이다.

경남기업 조직도 종전의 1부문 4본부 29팀을 3본부 14팀으로 통폐합했다. 직원도 감원했다. 대신 회생절차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회생본부 3개팀을 신설했다. 경남기업 관계자는 “조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관리인이 법원 허가를 받아 구조조정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법정관리 기업이 구조조정을 하는 것은 통상적 수순이다. 다만 경남기업의 경우 회사 내부 사정을 잘 아는 핵심 임원의 증언이 검찰 수사에 결정적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회사를 떠나게 된 임원들이 검찰에 협조적으로 돌아서면 수사는 급물살을 탈 수 있다. 임원들 ‘눈치’를 보던 직원들이 검찰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가능성도 있다. 임직원끼리 진술 맞추기 등 조직적으로 공모하는 것도 사실상 어려워졌다.

성 전 회장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박준호 전 상무와 이용기 부장이 잇따라 구속된 것도 검찰에 유리한 상황이다. 특별수사팀 관계자는 “의혹의 실체를 밝혀줄 ‘귀인’을 기다린다”고 수차례 밝힌 바 있다.

현재 경남기업 구조조정은 두산그룹 출신 관리인인 이성희씨와 신한은행 출신 구조조정 책임자(CRO) 이용호씨가 주도하고 있다. 법원은 경남기업의 주요 임원들이 검찰 수사 대상인 점을 감안해 외부인을 관리인으로 선임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