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대지진] 취약한 경제 흔들흔들… 네팔 두고 중국과 인도의 패권싸움

입력 2015-04-27 19:24

네팔을 덮친 진도 7.8의 강진은 가뜩이나 취약한 네팔 경제를 더 어렵게 만들 전망이다. 3000명이 넘는 희생자를 낳은 이번 지진으로 수도 카트만두를 비롯해 곳곳의 건물이 내려앉고 도로망과 송전선이 끊겼다.

여진을 피해 노천에서 밤을 새운 마두카르 라나 전(前) 네팔 재무장관은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국가 경제의 중심인 카트만두가 지진으로 마비된 상태라고 밝혔다. 네팔 중앙은행에 따르면 이번 지진과 잇따른 여진으로 피해를 본 지역이 네팔 경제활동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이다. 김헌 아시아개발은행(ADB) 남아시아 국장도 “네팔의 약 40%가 강진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재해 규모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예단하기조차 어렵다고 덧붙였다. 미국 지질조사국은 네팔의 피해 규모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최저 9%에서 최고 50%로 추정하면서 35%에 근접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네팔 경제는 세계은행을 포함한 외부의 도움이 없다면 자력갱생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아시아 최빈국의 하나인 네팔은 대대적인 재건 노력을 벌이고자 해도 이를 자체적으로 충당할 재원이 없기 때문이다. 네팔의 GDP는 미국의 한개 주보다도 규모가 작다. 가뜩이나 1주일 전 ADB는 네팔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지난해의 5.2%보다 낮아진 4.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빈국의 재정난 완화를 위해 활동하는 미국의 종교단체 주빌리USA는 국제통화기금(IMF)이 네팔의 외채 38억 달러를 해결하기 위해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 IMF는 네팔의 재정적 수요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팀을 파견하고 ADB, 세계은행 등과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네팔에 구조팀과 지원물자를 경쟁적으로 보낸 인도와 중국도 직접적인 경제 지원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최근 인도와 중국은 양국 사이에 끼어 있는 네팔에 대한 영향력을 두고 경쟁해왔다. 네팔의 통화가 인도 루피화에 연동돼 있어 인도는 오랫동안 네팔을 자국의 영향권으로 여겨왔다. 하지만 인도는 지난해 중국에 네팔의 최대 투자국 자리를 넘겨줘야 했다. 중국은 네팔에서 고속도로, 발전소, 공장 건설 등 수십억 달러 어치의 공사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 중국은 또 연간 원조액을 기존의 5배인 1억2500만 달러(약 1345억원)로 증액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이 이처럼 네팔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것은 네팔이 중국을 반대하는 티베트인들의 피난처가 되지 않게 하려는 속셈이 깔려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분석했다.

[관련기사 보기]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