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부대가 9·11 사태 이후 미국의 대외정책 수행 과정에서 효과적인 새로운 수단으로 부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대규모 군사력 동원으로 상징되는 전통적인 전략 의존도를 줄이는 방안의 하나로 특수부대를 ‘약방의 감초’ 격으로 사용해왔으며, 이를 위해 특수부대 증강에 주력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한해 통합특수전사령부(SOCOM) 산하 관련 부대들이 파견된 국가 수는 온두라스, 몽골, 에스토니아, 지부티 등 81개국으로 집계됐다고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는 “미군이 참전할 필요가 없도록 파견국 특수부대원들의 전투 능력을 배양하는 훈련 지원 역할이 주 임무”라면서 “혼란을 일으키는 무장세력들에 맞선 전투술뿐만 아니라 극단적인 이념에 방어벽을 칠 수 있는 외교술까지 지도한다”고 전했다.
특수부대원들의 임무와 활동 영역이 늘어나면서 덩달아 예산과 규모도 확대됐다. 플로리다 주 탬파에 사령부를 둔 SOCOM의 지난해 예산은 100억 달러였다. 이는 9·11 사태가 발생한 2001년의 22억 달러보다 무려 4배가 넘게 늘어난 셈이다. 병력도 2001년의 3만 3000여 명에서 지난해에는 7만여 명으로 확대됐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특수부대, 대외정책 수행 효과적 수단으로 부상”
입력 2015-04-27 1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