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현지시간)로 예정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미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일본군 위안부 등 아시아의 과거사 문제에 대한 공개적인 사과 표현은 없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익명을 요구한 워싱턴DC의 일본 외교소식통은 25일 “미 하원의원 25명의 공개 서한 발표와 한국계 미국인 시민단체들의 ‘위안부 문제 사과’ 항의 시위 계획 등을 알고 있다”면서도 “아베 총리가 의회 연설에서 식민지배와 아시아 침략 등의 사안을 언급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존 베이너 하원의장이 정당한 절차를 거쳐 (아베 총리를) 정중하게 초청했고 아무런 조건이 없다”면서 “미·일 양국 관계를 중심으로 얘기하는 게 성격상 맞다”고 덧붙였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25일자에서 “아베 총리가 외조부 기시 노부스케(1896~1987) 전 총리의 58년 전 연설을 참고해가며 미 의회 연설원고를 다듬고 있다. 또 외조부 연설의 음성기록을 집무실에서 듣고 있다”고 소개했다.
태평양 전쟁 A급 전범 용의자에서 기사회생해 일본 총리 자리에 오른 기시는 1957년 6월20일 미 하원 연설에서 미국의 ‘가려운 곳’을 긁어 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냉전이 한창이던 때 자유 진영 종주국의 심장부에 선 기시는 우선 “종전 후 경제 혼란을 회복하는데 있어 미국의 도움에 감사한다”며 사의를 표한 뒤 당시 미국의 최대 화두였던 ‘반공’에 초점을 맞췄다.
아베 총리가 이 연설을 벤치마킹한다면 미국의 현재 최대 고민거리인 중국의 대두와 세계적 테러리즘에 맞설 미·일동맹의 중요성과 향후 일본의 역할 등을 강조할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미국 의회조사국(CRS)은 아베 총리의 미국 방문을 앞두고 새로 정리한 미·일관계 보고서에서 아베 총리의 역사인식을 “국제사회가 주시하고 있다”며 압박했다. 의회조사국은 보고서에서 역사인식 문제에 대해 “아베 총리와 아베 내각의 언동은 지역의 관계를 어지럽히고, 미국의 국익을 해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우려돼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
미 의회 연설… “아베 아시아 과거사 언급 않을 것”
입력 2015-04-26 1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