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1~3월) 서울시내 반전세 주택의 전월세전환율이 연 6.7%을 기록, 지난해 1분기 이후 5분기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권 단독·다가구, 전세 보증금 1억원 이하일수록 월세 전환에 따른 세입자 부담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 계약이 끝나고 재계약할 때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돌리면서 적용하는 이율을 말한다. 이 비율이 높으면 전세보다 상대적으로 월세 부담이 높은 걸로 해석된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의 전월세전환율은 올 1분기 6.7%로 지난해 1분기 7.7%를 기록한 이후 5분기 연속 하락했다. 지난해 2분기 7.3%, 3분기 7.2%, 4분기 7.1%였다.
자치구별로는 종로구가 8.0%로 가장 높았고 동대문구(7.6%), 중구(7.5%)가 뒤를 이었으며 송파구가 6.0%로 가장 낮았다.
권역별로는 종로·용산·중구가 포함된 도심권이 7.6%로 가장 높았고 서초·강남·송파·강동구가 속한 동남권이 6.3%로 가장 낮았다.
전월세전환율은 도심권, 동북권, 서북권, 서남권, 동남권 순으로 높았다. 지역 간 전월세전환율 격차가 가장 큰 주택 유형은 다세대·연립주택으로 최고치와 최저치의 격차가 1.9%포인트였다. 단독·다가구 주택은 1.2%포인트, 아파트는 0.6%포인트로 집계됐다.
전세보증금별로는 보증금이 1억원 이하가 7.7%로 1억원을 넘는 주택(5.8%)보다 2%포인트가량 높게 나타났다.
오피스텔과 원룸 등 주택을 제외한 기타 주거유형의 1분기 전월세전환율은 7.6%로, 지난해처럼 주택보다 높았다. 권역별로는 동북·서북권이 7.8%로 높았고 동남권은 6.6%로 낮았다.
진희선 시 주택건축국장은 “향후 월세 증가와 기준금리 하락 등으로 인해 전월세전환율 하락세가 당분간 이어지겠지만 교통이 편리한 도심권의 소규모 월세 인기는 여전히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1분기 서울 전월세 전환율 6.7%…지난해 이후 5분기 연속 하락
입력 2015-04-26 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