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국무총리가 박근혜 대통령 귀국으로 퇴임 ‘초읽기’에 돌입하면서 향후 그의 행보에 정치권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 대통령은 27일 도착하면 하루 이틀 안에 이 총리의 사의를 수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바로 29일이 재·보궐선거이기 때문이다. 이 총리 사퇴가 확정되면, 정부조직법에 따라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 총리 대행을 맡게 된다. 박 대통령의 후임 총리 지명까지 상당기간 ‘총리 대행체제’가 공식 가동되는 셈이다.
이 총리는 당분간 일절 대외활동에 나서지 않고 자신의 금품수수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에 대비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상황은 결코 유리하지가 않다. 2013년 4월 재보선 직전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3000만원을 받았다는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지만, 관련 증언이 잇따르고 두 사람이 자주 연락했다는 사실도 드러나서다.
이 총리는 당시 상황을 정리하면서 성 전 회장과의 독대가 없었음을 입증할 증거를 찾는 데 주력할 것이라는 게 주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이 총리 측은 26일 “불가피하게 검찰에 나가게 된 만큼 사실 관계를 명확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만약 이 총리가 기소된다면 한동안 법정공방도 벌여야 한다. 내년 20대 총선까지 대법원 판결까지 마무리되기 힘들지만, 이 총리는 총선에 출마할 가능성이 크다.
세월호 정국을 수습한 집권여당의 ‘잘 나가는’ 원내대표에서 박근혜정부의 ‘실세 총리’까지 상승했다가 망자(亡者·성 전 회장)의 금품수수 의혹 제기 한 방에 추락한 이 총리로선 정치 역정 재개를 위해서도 총선 출마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더구나 그는 2013년 재보선에서 무려 77.4%라는 압도적 득표율로 당선된 만큼 지역기반도 튼튼하다. 이 총리로서는 검찰 수사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고 새누리당 의원으로 복귀하는 게 최선의 시나리오다. 상당한 정치적 타격을 받긴 했지만, 결백이 입증된다면 오히려 ‘억울한 허언(虛言)의 희생양’이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퇴임 초읽기 李총리 향후 행보…최경환 총리 권한대행
입력 2015-04-26 1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