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파문] 새누리당 ‘특사 의혹’ 부각에 당력 집중

입력 2015-04-24 20:26

새누리당은 24일에도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2007년 특별사면 의혹을 부각하는 데 당력을 집중했다. 야당이 ‘성완종 리스트’ 파문을 박근혜 정권의 불법 정치자금 문제로 규정하고 공세를 본격화하자 압박 수위를 높였다. 정권의 정통성을 겨냥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에 대해선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가 협공에 나섰다.

김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누가 (사면 요청을) 했는지 안 밝히려면 어제 왜 기자회견을 했느냐”고 했다. 문 대표가 전날 긴급 기자회견을 자청해놓고 정작 사면 경위에 대해선 입을 닫은 데 대한 비판이었다. 새누리당에선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으로서 무책임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홍일표 의원은 원내대책회의에서 “노무현정부가 누구 부탁을 받아서 (사면) 해줬다는 건 구차한 변명”이라며 “사면에 대한 권한과 책임의 주체는 정부”라고 반박했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의혹만 갖고 사퇴해야 한다면 특사 관련 책임 의혹이 일고 있는 문 대표도 대표직을 사퇴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몰아붙였다.

유 원내대표는 문 대표가 ‘친박(친박근혜) 게이트’는 별도 특검을, 해외 자원개발 비리 의혹은 상설 특검을 주장한 데 대해 “자가당착이고 자기모순”이라고 혹평했다. 문 대표의 이중 잣대를 문제 삼은 것이다. 유 원내대표는 “해외 자원개발 비리 의혹에 대한 특검은 공정성이 없어도 좋다는 건지 이해할 수 없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여야가 합의한 상설특검법에 따라 특검을 하면 되고 야당이 원하면 오늘이라도 시작할 수 있다”고 공을 넘겼다. 새누리당은 야당이 공정성을 내세워 야당 편향적인 특검을 임명하려는 의도라고 보고 있다. 상설특검법 제정을 주도해놓고 이제와 또 다른 특검을 요구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다는 설명이다.

“참여정부 청와대엔 더러운 돈 받고 사면을 다룬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는 문 대표 발언도 공격의 빌미가 됐다. 권성동 의원은 “누가 돈 받고 했느냐고 물어보지도 않았는데 저렇게 답변한 건 뭔가 켕기는 게 있어서 그렇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