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성완종 리스트’ 파문의 본질은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특별사면 논란이 아니라 ‘친박(친박근혜) 비리 게이트’라고 강조했다.
새누리당이 불씨를 지피는 성 전 회장에 대한 특사 논란에서 벗어나 불법정치자금 문제로 이슈를 되돌려 놓겠다는 의도다. 새정치연합은 특사 논란을 새누리당의 ‘국면전환용 정치 쇼’ ‘물타기’로 규정하며 불길 차단에 주력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을 정조준하며 재반격에 나섰다.
하지만 특사 논란이 참여정부 마지막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대표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새정치연합 문 대표는 24일 ‘성완종 리스트’ 파문과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은 귀국과 함께 약속한 특검 수용에 확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4·29 재·보궐선거가 열리는 서울 관악을 지역에서 주재한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사건은 권력의 불법정치자금, 대선자금과 직접 관련된 사건이자 대통령이 수사 받아야 할 피의자들의 뒤에 서 있는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새누리당이 특검 수용을 거부한 것은 참으로 개탄스러운 일”이라며 “새누리당은 자신들이 추천하고 대통령이 임명하는 특검이 아니면 받을 수 없다고 하는데, 이는 사정대상 1호가 사정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박 대통령의 핵심 실세 8명이 연루된 문제로, 대통령도 게이트의 당사자”라고 박 대통령을 겨냥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새누리당을 향해 “물타기도 정도껏 해야지”라며 “새누리당의 억지 주장은 국면전환, 오직 재보선 승리를 위한 정치 쇼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청와대가 문 대표의 기자회견에 대해 “야당 대표가 수사에 영향력을 미치려 한다는 의심을 받지 않을까 우려된다”면서 비판한 데 대해서도 비난 목소리가 쏟아졌다. 전병헌 최고위원은 “어처구니없는 반응이자 사돈 남말, 적반하장”이라고 주장했다. 추미애 최고위원은 “성난 민심에 사죄하기는커녕 야당 대표의 말꼬리를 잡으며 억지 부리는 것은 어느 나라 청와대냐”고 꾸짖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내부에서는 특사 논란의 불씨가 꺼지지 않는 데 대한 불안감도 감지된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문재인 “박 대통령 귀국 후 특검 수용 여부 응답하라”
입력 2015-04-24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