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강남 유명 성형외과 압수수색… “중국 정부 요청에 이제서야”

입력 2015-04-24 10:07

검찰이 서울 강남의 대형 성형외과들을 수사 중이다. 그나마도 중국 정부의 요청에 의한 것이다.

한국일보는 23일 서울서부지검 식품의약조사부(부장 이철희)가 서울 서초구 소재 유명 성형외과 등 9~10곳을 전격 압수수색해 병원 진료기록 등을 확보하고, 관계자들을 소환해 조사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들 성형외과들은 모두 10명 이상의 의사가 있는 병원들로 이 중 한 병원은 국내 최대 규모다.

이들은 전문 성형 브로커에 수술비의 절반에 가까운 고액 수수료를 주고 중국인 환자를 모집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지급한 수수료는 병원 회계 장부에서 누락됐고, 세금을 내지 않은 정황도 포착됐다.

최근 중국에서 인기가 높은 한류성형(韓流成形)에 불법 브로커들이 개입되면서 부작용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한국 성형외과에서 유커들이 수술 도중 사망하는 일이 잇달아 발생하자 중국 내 반한 감정이 일고 있다며 외교경로를 통해 한국 당국의 수사를 공식 요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1월 중국 언론들은 “서울 청담동의 모 성형외과에서 수술을 받던 50대 여성이 갑자기 심장이 멈췄다”며 “여성은 급히 삼성동의 대형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나 뇌사상태에 빠졌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한국으로 원정성형을 가는 중국인이 지난 4년간 20배나 늘었지만 가격이 비싸고 안전이 보장돼 있지 않다는 내용이다.

중국 언론은 한국에서 환자는 급증하는데 성형전문의의 수가 부족하니 겉으로는 성형전문의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경험이 거의 없는 레지던트가 수술을 집도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보도했다. 한국 성형의가 중국인 환자를 일종의 실습도구로 여기고 있다는 주장이다.

가격도 중국인에게는 2~3배 비싼 가격을 씌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쌍꺼풀 수술의 경우 한국인은 100만~150만원을 받지만 중국인에게는 400만~500만원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2013년 서울에서 진료를 받은 외국인 환자가 지불한 의료비 총액의 3분의 1을 중국인이 지불했다.

성형수술이 실패해도 중국인이 자신의 권익을 보호받을 수 있는 수단은 거의 없다고 보도했다. 일부 피해자는 시위, 폭행 등으로 항의했다가 도리어 피고인으로 몰리는 경우도 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