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메시지 지우면 교화소행?” 北당국,휴대폰 통해 지침 전달 지우면 처벌

입력 2015-04-24 07:39

북한 내 휴대폰 가입자 수가 250만명을 넘어섰다고 24일 북한전문매체인 뉴포커스가 보도했다.

합법적으로 휴대폰을 가진 사람의 대다수는 간부, 돈주 혹은 무역 관련 사업을 하는 사람들이라고 소개했다. 북한 정권은 이들의 공식적인 휴대폰을 도청 혹은 감청하면서 감시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한 탈북자는 “북한 정권에 휴대폰을 등록하고 사용하는 사람들 대다수가 자본이든, 권력이든 어떤 식으로든 사회적 영향력이 있다보니 북한 정권이 철저하게 관리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이 탈북자는 “근래에는 문자 메세지를 통해 북한 정권 혹은 당 지침을 하달하고, 계속해서 당에 대한 충성을 상기시킨다”며 “문제는 시도 때도 없이 온다는 점이다. 처음에는 신경쓰였지만, 너무 자주 오니까 나중에는 별 다른 생각없이 보는 경우가 많았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북한에서 핸드폰 사용 경험이 있는 탈북자들의 증언을 들어보면, 밤 6시 이후부터 새벽까지 시간을 가리지 않고 북한 정권으로부터 문자가 온다. 문자 내용은 크게 특이한 점 없이 노동신문이나 조선중앙통신에서 보도하는 내용과 비슷하게 당과 관련된 지침들이다.

또다른 탈북자는 “불시에 핸드폰 검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 메세지를 지울 수가 없다. 만약 메세지를 지우다가 적발되면 당이 내린 지침인데 함부로 지웠다며, 심하면 교화소에 가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 탈북자는 “일부 돈주(돈이 많은 사람)는 중국에서 핸드폰을 가입하고 밀수해서 사용하는 사례도 있다. 정권에서 보내는 문자가 귀찮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북한에서는 문자 메세지도 통화와 마찬가지로 감시의 대상이 된다. 휴대폰을 가지고 있어도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