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인도의 소비자들이 세계 사치품 소비를 주도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23일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메릴린치 보고서에서 한국과 중국, 인도의 명품 의류·신발 시장이 2009∼2014년 연간 16.8∼18.4%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세계 명품 의류·신발 시장의 평균 성장률인 4.8%의 3.5배에 달한다.
이 신문은 명품 의류·신발 외에 중국과 인도에서는 보석 소비가 급증했으며, 한국에서는 고가 주류 판매가 빠르게 늘었다고 전했다.
아제이 싱 카푸르 메릴린치 주식 전략가는 “과거 5년간 중국인과 인도인, 한국인들이 고급 사치품 소비를 주도했다”며 “중국과 한국처럼 고령화 사회에서는 보톡스와 화장품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전 세계 사치성 소비 시장 규모는 4조5000억 달러(약 4874조원)로 6% 증가했다. 보고서는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에도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 등으로 사치품 소비 증가율이 장기적으로 세계 경제성장률을 웃돌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한·중·인도, 사치품 시장 세계 평균보다 3배 이상 더 성장
입력 2015-04-23 2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