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간의 성완종 특사 미스터리?” 2007년 12월 28~31일 盧·MB 정부 인수인계때 무슨 일이?

입력 2015-04-24 05:43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 대한 특별사면을 노무현정부 청와대와 이명박(MB) 대통령직 인수위 중 어느 쪽이 주도했는지에 대한 진실 게임이 흥미진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명박 정부 탄생의 산파역중 한명인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은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그동안 대통령 사면시 여야 정치권이 협의해 대상자를 올리는게 오래된 관행이었다. 노무현 정부 말기에 이뤄진 사면도 예외가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그 '청와대와 인수위 협의'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뤄졌고, 성 전 회장을 최종적으로 사면명단에 포함시킨 인물이 누구냐인데 관심이 모아진다.

2007년 12월 28일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재가한 74명의 사면자 명단에는 성 전회장이 빠져 있지만, 12월 31일 단행된 최종 특사 대상에 성 전회장이 포함됐다는 점에서 나흘 동안에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냐를 조사해볼 필요가 있다.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던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퇴임하는 대통령이 후임 대통령을 정치적으로 고려한 사면"이라며 MB측의 요청으로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12월 28일 있었던 당시 노 대통령과 이명박 당선인간 만찬 회동이 "성전 회장 사면에 분위기상 도움을 줬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회동 자리에 성 전회장 사면이 논의된 적은 없다"고 말했다.

MB 당선인측 제3의 인물이 그 기간에 참여정부 청와대에 성완종 사면 청탁을 했다는 취지의 설명이다.

하지만 MB측 관계자는 "우리도 다 조사를 했는데 그런 요청을 했다는 사람이 없다"고 강력 부인했다.

그러면서 그런 청탁이 있었다면, 청탁을 받은 참여정부 청와대 당사자가 청탁을 한 주체를 밝히라는 것이다.

다른 MB측 관계자는 "성 전 회장이 그 해 11월 상고를 포기했다는 것은 이미 자신의 사면에 대해 당시 정권과 교감이 이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노무현 정부가 전적으로 결정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