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프로야구 마이너리그 선수들의 실상이 알려진 것보다 훨씬 비참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일간지 USA 투데이가 22일(현지시간) 보도한 마이너리거의 실상을 보면 평균 연봉은 풀타임 미국 직장인 최저 연봉이 1만5000달러의 절반인 7500달러(약 809만원)에 불과하다.
올해 개막전 로스터 기준 메이저리거의 평균 연봉이 사상 최초로 400만 달러를 넘어 425만 달러(45억 8000만원)에 이른 것에 비춰보면 마이너리거의 몸값은 메이저리거의 566분의1 수준에 머문 셈이다.
가장 낮은 단계인 루키리그에서 뛰는 선수는 한 달 평균 1100달러, 싱글 A 선수는 1250달러, 더블A와 트리플A 선수는 각각 1500달러, 2150달러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메이저리거가 거부의 상징이 된 것은 1976년 도입된 자유계약선수(FA) 제도 덕분이다. FA를 통해 선수들은 구단과의 장기 계약을 통해 거액을 손에 넣을 수 있게 됐다.
FA 제도 도입 이후 메이저리거의 연봉은 무려 2000%나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마이너리거의 연봉은 물가 상승률(400%)에도 크게 못 미치는 75% 오르는 데 그쳤다.
급기야 마이너리거 34명은 지난해 2월 MLB 사무국, 버드 셀리그 당시 MLB 커미셔너와 30개 구단을 상대로 선수로서 최저임금도 받지 못했고, 이는 연방법 위반 사안이라며 소송을 걸었다.
재판은 2017년 2월부터 본격적으로 열릴 전망이다.
이와 관련 MLB 사무국은 “연방법과 주법이 규정한 최소 임금과 초과 수당은 프로야구 선수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면서 “프로이기 때문에 선수가 메이저리거로 성공하려고 일과 후 스윙 훈련을 한다고 해서, 선수들이 연장전을 뛴다고 해서 이들에게 초과 수당을 줄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답했다.
마이너리거들의 소송을 대변하는 변호사 개럿 브로슈스는 “이들이 다른 노동자처럼 최저 임금을 받을 수 없다 하더라도 더 나은 환경에서 뛸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며 재판에서 이를 강조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서완석 체육전문기자 wssuh@kmib.co.kr
미국프로야구 마이너리그 평균 연봉 809만원
입력 2015-04-23 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