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은 총리 후보 직업군을 찾아라?” 언론.정치인 등 대부분 직업군 낙마

입력 2015-04-23 05:36

차기 국무총리의 컨셉과 직업을 어떻게 될까?

언론인과 정치인 출신 인사들이 낙마하면서 이들 직업군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선호도는 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또 대선 후보군들은 자기 정치를 하기 때문에 제외될 수 밖에 없다.

우선 인사청문회를 통과한 인사들이 1차 고려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주요 후보군으로는 최경환 경제부총리, 황우여 사회부총리, 이주영 전 해양수산부 장관 등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이들은 현역 의원이기도 해 내년 4월 20대 총선 불출마 문제가 걸림돌이며 신선도도 떨어진다.

현직 각료 중에선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꼽힌다. 황 장관은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을 끌어내는 등 주요 업무를 차질 없이 수행해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

야당과의 관계나 국민 통합의 상징성 등을 감안할 때 이번에는 호남 출신 총리를 내세울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박준영 전 전남도지사(전남 영암), 이강국 헌법재판소장(전북 전주),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전북 군산) 등이 꼽힌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 출신인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전북 전주)도 후보군이다.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몸담았던 인물을 파격적으로 발탁할 경우 국민통합에 큰 무게가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노무현정부에서 공정거래위원장을 지낸 강철규 서울시립대 명예교수와 노무현 정부에서 재정경제부 장관을 역임한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등이 후보로 꼽힌다. 특히 이 전 부총리는 지난 대선 때 새정치연합 안철수 의원을 도왔다는 점에서 여론의 관심이 더 쏠린다.

한편으로는 충청 민심을 달래기 위해 최근 20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강창희 전 국회의장이 후보군으로 우선 꼽힌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나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가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지만 대선 후보군이라는 점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다.

법조인 출신 총리를 콘셉트로 잡을 수도 있다. 대통령 민정특보인 이명재 전 검찰총장은 박 대통령이 현재 곁에 두고 중용하고 있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1순위 후보로 거론될 수 있다.

또 청렴한 법조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목영준 헌 헌법재판관, 조무제 전 대법관이나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도 후보군에 들어갈 수 있다.

대학총장 출신으로 이장무 전 서울대 총장이나, 정갑영 연세대 총장 등이 꼽힌다. 도덕성이나 전문성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후보로 거론된다.

정갑영 전 총장은 전주고 출신으로 호남 총리라는 점에서 대통합 콘셉트와도 맞물릴 수 있다.

그렇지만 명망가나 학자 출신은 내각을 통할하는 국정 수행 능력에 의문 부호를 다는 목소리가 없지 않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