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 실험실 안전에 1600억원 투입, 사립대는 ‘死角’

입력 2015-04-22 13:36
정부가 독성물질 유출이나 폭발 등 안전사고가 빈발하고 있는 대학 실험실의 환경을 개선하기로 했다. 그러나 안전사고는 국립과 사립 가리지 않고 발생하지만 지원 범위를 국립대로 한정해 ‘반쪽짜리’라는 지적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교육부는 ‘국립대학 실험실 안전환경 기반조성 사업’으로 1606억원을 투입한다고 22일 밝혔다. 지원 대상은 전국 41곳 국립대(국립법인 2곳 포함)로 이공계 실험실과 예체능계 미술실, 체육실 등 실습실 등이 을 포함한다. 특히 인체에 치명적 영향을 끼치는 유해물질이나 가연성·독성 가스 사고를 근절하기 위해 안전장비 확충에 우선 883억원이 투입된다. 또 대학 실험실을 직접 활용하는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안전 전문가 등의 협의를 거쳐 ‘실험실 안전환경 구축 가이드’를 마련해 대학에 배포했다.

대학 실험실 안전사고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실험 내용이 점차 복잡·다양해지면서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사고 건수는 2007년 이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1년 150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2012년 102건, 2013년 94건으로 줄었으나 지난해 145건으로 늘어났다. 2010년 이후 실험실에서 가스폭발, 화학물질 누출, 조작 미숙 등으로 7명이 사망했다.

실험실 안전사고는 지난 5년간 공·사립대 363건, 국립대 246건, 연구기관 51건, 기업 연구소 7건으로 집계됐다. 이번 대책에는 사고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공·사립대 실험실에 대한 대책이 빠졌다. 수도권 사립대 관계자는 “사립대의 연구 환경이 국립대보다 열악한 경우가 훨씬 많으므로 사립대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