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화(64)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이 ‘거물급 브로커’와 연루돼 비자금 조성에 직접 개입한 정황을 검찰이 포착했다. 포스코건설 측은 브로커에 줄 돈을 마련하기 위해 회사 내부 규정을 임의로 바꾸기도 했다. 브로커의 농간에 놀아난 것이다. 이 브로커는 1997년 대선 직전 ‘총풍사건’과 2002년 불법 대선자금 사건에 연루됐었다. 정·관계 인사들과 두터운 인맥을 로비업무에 활용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검찰에 따르면 브로커 장모(64·구속 기소)씨는 2010년 하반기 중학교 동창인 정 전 부회장에게 공사수주 관련 청탁을 했다. 포스코건설에서 발주한 베트남 ‘노이바이-라오까이’ 고속도로 프로젝트의 하도급을 W사가 수주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것이었다. 장씨는 사전에 W사 황모 대표와 상의해 공사계약 대금의 3.5%인 15억원 가량을 로비 대가로 받기로 했다.
장씨의 로비로 바로 통했다. 당시 고속도로 프로젝트 현장소장이던 박모(52·구속 기소) 전 상무는 W사와 그 협력사 S사에 낙찰 예정가격이 430억원 가량 될 것이라고 미리 귀띔해줬다. W사와 S사는 이 금액에 맞춰 하도급 견적서를 작성해 제출했다. 만일에 대비해 포스코건설 측은 ‘얘기가 통하는’ 베트남 현지 하도급 업체 몇 군데에만 입찰요청서를 보내기도 했다. ‘입찰가를 430억원 이상으로 써내라’는 지시도 함께였다. 담합을 좀 더 편하게 진행하기 위해서였다. 검찰은 장씨의 청탁을 받은 정 전 부회장이 박 전 상무에게 직접 일사불란한 일처리를 주문한 것으로 본다.
2011년 2월 W사와 S사가 계획대로 공사를 수주하자, 그해 5월 장씨는 두 업체로부터 15억원을 받았다. 하지만 장씨는 포스코건설과 협력업체 측에 돈을 추가로 요구했다. 정 전 부회장과 친밀한 관계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박 전 상무에게 압력을 넣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해 11월 박 전 상무는 실제 공사가 착공되기 전인데도 공사에 들어간 것처럼 가장해 돈을 마련했다. 최대한 많은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하도급업체에 계약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을 베트남화폐인 동(VND)에서 미국 달러로 임의 변경하기도 했다. 당시 달러의 가치가 오르는 추세인 점이 고려됐다. 급히 마련된 10억원 가량의 ‘뭉칫돈’은 W사와 S사를 거쳐 장씨가 베트남 현지에 설립한 회사로 넘어갔다. 명목은 컨설팅 비용이었다.
검찰은 장씨가 챙긴 총 25억원 가운데 일부가 정 전 부회장에게 전달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외에도 두 사람이 공모해 추가로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은 없는지 살펴보고 있다.
검찰은 장씨 주변인물과 포스코건설 관계자를 중심으로 정 전 회장이 비자금 조성에 직접 개입한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의 길이 보인다. 정 전 부회장 소환이 멀지 않았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포스코 비자금 조성에 거물급 브로커 개입
입력 2015-04-21 1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