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이완구 국무총리 해임건의안 제출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새누리당의 머리는 복잡하다.
공식적으로는 ‘불가(不可)’ 입장에서 하나도 변하지 않았다. 박근혜 대통령이 해외 순방중인 상황에서 총리에 대한 해임건의안 제출은 국정공백을 초래할 수 있다는 논리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귀국하는 27일까지 이 총리 거취와 관련해 아무 결정을 내리지 않는 것은 무리라는 비판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민심을 고려하면 “일주일도 길다”는 것이다. 당장 눈앞에 닥친 4·29 재·보궐선거의 성적표도 걱정스럽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재선거가 실시되는 서울 관악을 현장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새누리당은 검찰의 성역 없는 수사를 전폭 지지하며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특별검사로 가도록 할 것”이라고 20일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어 “박 대통령이 국익을 위해 중남미 정상외교를 인해 자리를 비운 시기인 만큼 어떤 일이 있어도 국정공백이 생겨서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일이 생겨서는 안 된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새정치연합이 해임건의안을 실제로 제출하면 의원총회를 열어 대책을 논의할 방침이다.
하지만 여권 내부의 기류변화도 감지된다. 박 대통령의 순방 귀국 전까지 결정을 미뤘다가는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위기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이 ‘내우외환(內憂外患)’에 빠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새정치연합이 해임건의안 카드를 행동으로 옮기는 것도 근심스럽지만 새누리당 내부에서 자진사퇴 요구가 확산되는 것도 신경쓰지 않을 수 없다.
새누리당 초·재선 의원 모임인 ‘아침소리’의 하태경 의원은 “이 총리 사태가 대통령의 국정운영이나 여당이 추진하는 개혁 드라이브에 상당한 부담이 되기 때문에 사법적 증거가 나오기 전이라도 사퇴서를 제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영우 의원도 “결국은 총리와 대통령의 결단이 중요하다”고 압박했다.
그래서 나온 아이디어가 ‘선(先) 사의 표명, 후(後) 사의 처리’ 방안이다. 이 총리가 박 대통령 순방 중에 자진사퇴 의사를 밝히고 박 대통령이 귀국한 뒤에 사의를 수용하는 것이다.
새누리당의 한 의원은 “이 총리가 스스로 사퇴 의사를 표명하고, 다만 박 대통령 귀국 때까지 국정을 흔들림 없이 챙기겠다는 뜻을 밝히는 것 말고는 다른 해법이 보이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4·29재보선의 패배 우려가 점점 높아지는 것도 ‘선(先) 사의 표명’ 주장이 여권 내부에서 힘을 받는 요인이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이완구 총리를 둘러싼 여권의 복잡한 속내…고개드는 先 사의표명론
입력 2015-04-20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