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때문에 수도권에서 한 해에 30세 이상 성인 1만5346명이 기대수명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 사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수도권 30세 이상 성인의 연간 사망자 10명 가운데 1명꼴이다.
미세먼지는 아주 작은 먼지를 뜻한다. 지름이 10μm(1μm=1000분의 1㎜)보다 작은 먼지를 미세먼지라고 한다. PM10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지름이 2.5μm보다 작은 먼지(PM2.5)는 초미세먼지라고 부른다. 머리카락의 지름은 대략 80μm이다.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임종한 교수팀과 아주대 환경공학과 김순태 교수팀은 공동으로 PM10과 PM2.5 등 대기오염(분진)이 수도권 거주자의 사망에 미치는 영향도를 조사한 결과 2010년 기준으로 수도권에 사는 30세 이상 성인 중 대기오염에 따른 사망자 수는 같은 연령대 총 사망자의 15.9%를 차지했다고 20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이런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인 직업환경의학회지 최근호에 발표됐다.
미세먼지는 병원 입원율도 높였다. 미세먼지 때문에 치료받은 환자는 호흡기질환 1만2511명(모든 연령대), 심혈관질환 1만2351명(모든 연령대), 폐암 1403명(모든 연령대), 천식 5만5395명(18세 미만 1만1389명, 18세 이상 4만4006명), 만성기관지염 2만490명(모든 연령대), 급성기관지염 27만8346명(18세 이하) 등이었다.
연구팀은 정부가 추진 중인 ‘수도권 제2차 대기관리정책’이 효과를 거둬 2024년 대기오염 농도(μg/㎥)가 미세먼지 30, 초미세먼지 20 수준으로 떨어지면 조기 사망자수가 2010년 대비 57.9%가 줄어든 1만866명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 반면 현재의 대기오염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2024년에 조기 사망자수는 2만5781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수도권 30세 이상 사망자 10명 중 1~2명은 미세먼지 때문
입력 2015-04-20 1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