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내부의 동상이몽, 한지붕 두가족 해법

입력 2015-04-19 16:29
새누리당이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서 벗어나기 위해 죽을 힘을 다 쓰고 있다. 하지만 해법은 계파에 따라 ‘동상이몽’ ‘한 지붕 두 해법’이다. 이완구 국무총리 거취 문제를 놓고 새누리당 내부의 계파 갈등이 폭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새정치민주연합의 이 총리 해임건의안 발의 움직임이 대형 변수로 등장했다.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1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야당이 해임건의안을 제출하면 의원총회를 열어 의원들의 의견을 물어 보겠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의총 결과가 사태 흐름의 새로운 분수령이 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김무성 대표, “일주일만 참아 달라”=친이(친이명박)계를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 비주류는 “한시라도 빨리 이완구 국무총리가 자진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상황이 긴박하게 전개되는 만큼 박 대통령이 귀국하는 27일까지 기다릴 수 없다는 것이다.

또 재·보궐선거가 29일 실시되는 점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 총리 거취 문제를 뒤늦게 결정했다가는 4석이 걸린 4·29재보선에서 전패(全敗)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퍼져 있다.

하지만 새누리당 지도부와 친박(친박근혜)계는 “검찰 수사를 지켜본 뒤 결정해도 늦지 않는다”는 입장에서 변함이 없다. 새누리당 지도부와 친박 의원들 입장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6일 중남미 순방을 떠나며 “다녀와서 결정하겠다”고 말한 것을 거스르기 힘든 것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 총리 거취 문제와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의 귀국할 때까지 국정공백이 없어야 한다”면서 “그 때까지 일주일만 참아 달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재선거가 실시되는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의 모란시장에서 시장 상인들과 간담회를 갖고 “검찰 수사 결과가 나오면 누구를 막론하고 연루된 사람은 단호한 조치를 취하겠다”면서 “(사실이면) 출당 조치를 시키고, 아니면 누명을 벗겨 드리겠다”고 강조했다.

◇‘해임건의안 의총’…합의점 찾을까=새정치연합이 이 총리 해임건의안 카드를 행동으로 옮길 경우 새누리당은 더욱 복잡한 상황에 빠지게 된다. 해임건의안 제출을 무시하자니 ‘부패정당’ 소리가 두렵고, 집권 여당이 총리 해임건의안을 좋다고 받을 수도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유 원내대표의 해법은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 답을 찾자는 것이다. 유 원내대표는 “야당이 실제로 해임건의안을 제출한다면 이는 원내지도부가 독자적으로 결정할 사안이 아니다”라면서 “전체 의원들의 의견과 뜻에 따라 새누리당의 방침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우려도 없지 않다. 당내 계파에 따라 생각이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의 한 수도권 의원은 “지금 의총 말고는 대안이 없어 보인다”면서 “의원들이 토론을 하며 해답을 찾아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다른 의원은 “의총에서 계파 충돌 등 새누리당 내부의 분열상이 그대로 노출될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우려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