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자원외교 국정조사특위가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 직격탄을 맞고 결국 ‘빈손’으로 활동을 마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청문회 증인 채택 문제에 대한 여야 간 의견차가 여전한 상황에서 자원외교 비리 등의 혐의로 수사를 받던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사망으로 국정조사의 동력 자체가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자원외교 국조특위는 지난 7일 활동기간 연장에 합의한 이후 열흘 만인 17일 처음으로 간사 협의를 통해 청문회 증인 채택 문제를 논의했으나 기존의 입장차만 확인했다.
야당은 여전히 이 전 대통령을 비롯해 이상득 전 의원, 최경환 경제부총리,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5명의 핵심 증인들을 증언대에 세우겠다는 입장이지만 여당은 이들 중 한 명도 채택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협상이 결렬된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는 이번주초 추가로 간사 협의를 하기로 했지만 역시 전망은 밝지 않아 보인다.
다음 주초 협상마저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연장된 국조특위도 결국 아무런 성과없이 끝날 가능성이 커지게 됐다. 청문회 일주일 전에 증인에게 출석요구서를 보내야 하는 국정조사법상 늦어도 24일까지는 증인 채택에 합의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이 전 대통령의 출석을 요구하며 자신도 청문회 증인으로 나서겠다고 한 '승부수' 역시 빛이 바랠 형편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자원국조특위,빈손 특위로 전락?” 성완종 파문 직격탄 증인 협상 진척 없어
입력 2015-04-20 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