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무상치료제’다, ‘사회주의 무상치료제’는 북한의 심각한 경제난과 함께 이미 사라져버렸다고 일본의 북한전문매체인 ‘아시아프레스’가 19일 보도했다.
일부 고위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민들은 모두 돈을 주고 약을 사서 먹어야 하고, 병원에 입원해도 의사에게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고 아시아프레스는 전했다.
국가에서는 약을 판매하지 않고, 개인의 약 판매도 단속하고 있다. 주민들은 시장에서 복용방법도 확인되지 않는 약을 몰래 먹다 보니 사망자까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병원은 혈압계와 체온계 등 초보적인 의료도구조차 갖추고 있지 못해서, 치료는커녕 환자의 병이 무엇인지조차 제대로 진단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한다.
산모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병원에 가도 출산 시 필요한 약품이나 시설이 없으니, 일부 산모들은 개인이 불법으로 치료하는 집에서 출산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암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주사약과 여성 생리용품을 제외한 모든 의료기구가 유엔으로부터 지원 받은 의료기기였다. 유엔이 북한 주민들의 치료에 사용하라고 보낸 의료 물자들이 암시장에서 팔리고 있는 것이다.
시장에서 의료기구가 판매되는 것에 대해 한 탈북 여성은 집에서 출산을 위해 쓰이기도 하지만, 불법 낙태 시술에 더 많이 쓰여진다고 증언했다.
'고난의 행군을 거치면서, 여성들의 어려운 생활 형편으로 아이를 많이 낳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당국은 자녀 출산을 장려하며 별다른 병이 없는 경우 원칙적으로 낙태 시술을 해주지 않기 때문에, 몰래 개인 집에서 불법 낙태 수술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불법으로 낙태수술을 받는 경우 치료하는 사람이 의사자격증이 없거나, 기구가 소독돼 있지 않거나 하는 이유로 수술을 받은 여성들 중 사망자가 발생한 경우도 목격했다’고 덧붙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생리대 빼곤 모든 의약품 北 암시장서 거래” 의약품 대부분 유엔지원품
입력 2015-04-19 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