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17일 이완구 국무총리에게 “이번 주말까지 거취 여부를 결정하라”고 최후통첩했다. ‘친박 비리게이트 대책위원회’는 대책회의를 갖고 이 총리가 사퇴하지 않으면 해임건의안 검토에 착수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대책위원장인 전병헌 최고위원은 “주말까지 이 총리와 새누리당이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다음주부터 구체적인 단계로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민병두 의원은 이 총리 뿐 아니라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의 퇴진을 촉구했다. 민 의원은 또 허태열·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출국금지도 요구했다.
그러나 해임건의안 제출 여부를 놓고 당내 의견이 엇갈린다. 당 전략 단위에서는 이미 해임건의안에 대한 검토를 마치고 지도부에 보고한 상태다. 여당 내부에서도 총리 사퇴론이 나오는 상황에서 해임건의안 의결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하지만 원내 지도부는 유보적이다. 원내 핵심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도부가 너무 앞서가고 있다”며 “덜컥 (해임건의안을) 내놨는데 만약 부결되면 이 총리에게 면죄부를 주게 될 뿐 아니라, 정치적 역공을 어떻게 감당하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따라 원내 지도부는 당분간 여당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총리 사퇴 여론전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야당의 힘만으로는 총리 해임건의안 가결이 불가능하다. 재적 의원 294명 가운데 과반인 148명의 찬성을 얻어야 하는데, 정의당을 포함한 야당 의석은 134석(구속 중인 김재윤 의원 제외)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최소 14명의 새누리당 이탈표가 필요하다.
앞서 서울 관악을 보궐선거 지역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재인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을 정조준했다. 문 대표는 “(성완종) 리스트의 8인 가운데 이 총리와 홍준표 경남도지사 외에는 모두 박 대통령 자신의 경선자금과 대선자금, 해외순방 비용과 관련된 비리”라며 그 동안 이 총리에게 집중됐던 전선을 확대했다. 이어 “대통령이 남 일 말하듯 할 사건이 아니다”라며 “(박 대통령이) 수사를 받아야 할 총리에게 권한대행을 맡기고 해외순방을 떠난 것은 무책임하고 답답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새정치연합 “이완구, 이번주까지 사퇴하라” 최후통첩
입력 2015-04-17 2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