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파문 이후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 30% 중반으로 주저앉아

입력 2015-04-17 20:59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최근 5% 포인트 하락하면서 30%대 중반으로 급락했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과 그로 인해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집중 포화를 받은 이완구 국무총리 영향이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지지율 하락은 전통적 지지 세력인 대구·경북(TK) 지역과 60대 이상 노령층에서 크게 도드라졌다.

한국갤럽이 17일 발표한 대통령 직무수행평가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 비율은 34%로 집계됐다. 부정 평가는 54%였고, 12%는 의견을 유보했다. 긍정평가는 5% 포인트 하락, 부정평가는 2% 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박 대통령의 탄탄한 지지기반이었던 TK지역에서 긍정평가가 65%에서 51%로 무려 14% 포인트나 하락했다. 부산·울산·경남(PK) 지역에서도 긍정평가는 7% 포인트 하락한 39%에 그쳤다. 연령별로는 보수 성향인 60세 이상에서의 긍정평가가 71%에서 61%로 10% 포인트 하락했다. 50대 긍정평가 역시 47%로 50%대가 무너졌다.

부정 평가 응답자는 그 원인으로 인사문제(1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4%)도 새롭게 추가됐다. ‘리더십 부족·책임회피’라고 답변한 비율도 4% 포인트 올라간 7%였다. 성완종 리스트에 기재된 인물이 여권 주요직 인사들인 만큼 이번 파문과 그에 대한 박 대통령의 대응이 지지율 하락의 결정적 원인이 된 셈이다.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올 초 연말정산 파동 때 29%로 바닥을 쳤다가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고, 이 총리의 부정부패 척결 대국민담화 발표 이후 4월 첫째 주 40%까지 회복했었다.

새누리당 역시 지지도가 38%로 동반하락하며 40%대 밑으로 내려왔다. TK 지역은 61%에서 52%로, PK지역도 50%에서 47%로 하락했다. 새누리당 지지율이 40%를 밑돈 건 지난해 세월호 참사 발생 직후(39%) 처음이다. 지난해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때나 올 초 연말정산 파동이 났을 때도 새누리당은 40% 선을 사수했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25%로 지난주와 동일했다. 반면 무당층은 3% 포인트 늘었다. 야당이 여당 지지율 하락의 반사이익을 보지 못한 셈이다.

이번 조사는 대정부질문 기간인 지난 14일부터 사흘간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8명을 대상(95% 신뢰수준 ±3.1%포인트, 응답률 15%)으로 이뤄졌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