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유가 체제가 지속되고 있지만 전기차 판매는 여전히 활황 중이다. 전기차 배터리를 세계 유수의 완성차 메이커에 공급하는 삼성SDI가 16일 발행한 e-뉴스레터에서 유가와 전기차 판매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미국의 전기차 전문매체 인사이드EVs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판매는 지난해 1월 1만4512대에서 매월 꾸준히 늘어 작년 12월엔 3만7511대가 됐다. 대체에너지자동차 전문매체 그린카리포츠는 ‘휘발유 가격이 전기차 판매에 영향을 미친다’, ‘충전소가 부족하면 전기차 시장이 죽는다’, ‘PHEV(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차)는 안전하지 않다’, ‘휘발유차 판매를 능가하지 못하면 전기차는 실패한다’는 4가지 가설이 오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저유가에도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는 데 각국의 친환경 정책이 한몫하고 있다.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일본 등 16개국은 2010년 전기차 이니셔티브(EVI) 리더십 포럼을 만들었다. 2014년 말 기준 EVI 회원국에 보급된 전기차는 66만여대, 충전설비는 약 11만대에 이른다.
특히 2010년 1만7000대 수준이던 미국 전기차 시장은 4년간 7배 넘게 성장해 작년에 연간 10만대를 처음 돌파했다. 테네시·델라웨어·캘리포니아주에서 전기차 공장 설립 자금을 주고, 배터리·모터 등 30개 핵심부품에 대한 자금도 지원한다. 매칭펀드 등으로 8억달러의 재원을 마련하기도 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관용차량 50%를 PHEV나 EV로 구매하도록 의무화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일본에서는 전기차 인프라 확산을 위해 도요타, 혼다, 미쓰비시, 닛산이 일본충전서비스(NCS)라는 공동출자기업을 설립했다. 닛산은 '일본에 주유소보다 충전소가 많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유럽에서는 디젤차 배출가스 유해성 논란으로 디젤차의 전기차 전환을 유도하는 정책이 확산 추세다. 독일은 급속 충전시스템을 현재 100여개에서 2020년까지 7000개로 늘릴 작정이다. 네덜란드·덴마크·독일 등을 잇는 주요 고속도로에 충전시설 155개를 신설하는 계획도 추진중이다.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전기차 시장은 올해 260만대에서 5년 뒤인 2020년에는 770만대로 3배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각국 친환경정책이 전기차시장 성장 이끈다
입력 2015-04-16 0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