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국무총리가 15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성완종 리스트’와 관련해 “이 사건이 앞으로 대단히 광범위하게 밝혀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사 대상이 된 이 총리가 수사 주체처럼 전망을 내놓는 것은 부적절한 ‘가이드라인’ 제시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 총리는 새정치민주연합 이미경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이같이 말하며 “고인(성 전 회장)과 친하지 않았지만, 대충 듣고는 있었다. 그래서 예사롭지 않게 평소 생각했고, 가끔 제가 동료 의원에게 ‘가능하면 (성 전 회장을) 조심하면 좋겠다’고 조언한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 검찰 수사 진행되겠지만 대단히 복잡한 수사가 될 것이고 광범위한 측면에서 수사가 될 것으로 그렇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광범위하다”는 표현을 두 차례나 쓴 것은 성 전 회장이 여야 정치권과 두루 친하기 때문에 야권으로도 수사가 확대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 의원은 이에 대해 “수사가 제대로 될지 걱정하게 하는 발언을 하셨다”며 “검찰총장, 법무부장관, 민정수석실, 비서실장 이렇게 보고 체계가 되어 있는데 다 (국무총리와) 연결되어 있는 사람”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이 총리는 리스트에 이름이 올라 ‘피의자’로 검찰 수사를 코앞에 둔 상황이다. 이 총리의 금품 수수에 대한 증언도 날이 갈수록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내각을 통할하는 이 총리가 ‘광범위한 수사’를 말한 것은 수사 개입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 총리는 자신의 수사 전망 근거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이 총리는 앞서 14일 대정부질문에서도 “만약 돈 받은 증거가 나오면 목숨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검찰이 수사로 증거를 찾아야 하는 상황으로 국무총리의 ‘목숨 발언’은 수사 개입으로 여겨질 수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새정치연합 추미애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총리는 증거가 나오면 목숨을 내놓겠다고 호언장담했는데, 그것은 ‘나에 대한 증거를 찾지 말라’는 협박으로 대다수 국민이 들었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임성수 기자
‘수사 대상’ 총리의 부적절한 가이드라인 “광범위한 수사 될 것”
입력 2015-04-15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