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대상’ 총리의 부적절한 가이드라인 “광범위한 수사 될 것”

입력 2015-04-15 16:54

이완구 국무총리가 15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성완종 리스트’와 관련해 “이 사건이 앞으로 대단히 광범위하게 밝혀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사 대상이 된 이 총리가 수사 주체처럼 전망을 내놓는 것은 부적절한 ‘가이드라인’ 제시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 총리는 새정치민주연합 이미경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이같이 말하며 “고인(성 전 회장)과 친하지 않았지만, 대충 듣고는 있었다. 그래서 예사롭지 않게 평소 생각했고, 가끔 제가 동료 의원에게 ‘가능하면 (성 전 회장을) 조심하면 좋겠다’고 조언한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 검찰 수사 진행되겠지만 대단히 복잡한 수사가 될 것이고 광범위한 측면에서 수사가 될 것으로 그렇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광범위하다”는 표현을 두 차례나 쓴 것은 성 전 회장이 여야 정치권과 두루 친하기 때문에 야권으로도 수사가 확대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된다. 이 의원은 이에 대해 “수사가 제대로 될지 걱정하게 하는 발언을 하셨다”며 “검찰총장, 법무부장관, 민정수석실, 비서실장 이렇게 보고 체계가 되어 있는데 다 (국무총리와) 연결되어 있는 사람”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이 총리는 리스트에 이름이 올라 ‘피의자’로 검찰 수사를 코앞에 둔 상황이다. 이 총리의 금품 수수에 대한 증언도 날이 갈수록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내각을 통할하는 이 총리가 ‘광범위한 수사’를 말한 것은 수사 개입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 총리는 자신의 수사 전망 근거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이 총리는 앞서 14일 대정부질문에서도 “만약 돈 받은 증거가 나오면 목숨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검찰이 수사로 증거를 찾아야 하는 상황으로 국무총리의 ‘목숨 발언’은 수사 개입으로 여겨질 수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새정치연합 추미애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총리는 증거가 나오면 목숨을 내놓겠다고 호언장담했는데, 그것은 ‘나에 대한 증거를 찾지 말라’는 협박으로 대다수 국민이 들었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임성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