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차량이 무사고로 둔갑하는 등 중고차 살 때 제공되는 차량 성능·상태 점검 기록이 실제 상태와 달라 피해를 입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2년간 접수된 중고자동차 매매 관련 소비자 피해 843건을 분석한 결과 중고차 성능점검 내용과 실제 상태가 다른 경우가 651건(77.2%)에 이르렀다고 14일 밝혔다. 세부적으로 ‘성능·상태 불량’이 333건(39.5%)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사고정보 고지 미흡’ 180건(21.4%)이었다. 이밖에 ‘주행거리 상이’ 68건(8.1%), ‘연식·모델(등급) 상이’ 39건(4.6%), ‘침수차량 미고지’ 31건(3.7%) 등이 뒤를 이었다.
‘성능·상태 불량’ 피해(333건) 중에는 ‘오일누유’(91건)가 가장 많았고, ‘진동·소음’(65건), ‘시동 꺼짐’(37건), ‘냉각수 누수’(29건) 등의 순이었다. 또한 사고차량을 ‘무사고로 고지’한 경우가 125건, ‘사고부위 축소 고지’가 55건으로 각각 확인됐다.
중고자동차 매매 관련 소비자 피해는 경기도 부천시 ‘오토맥스’(158건·18.8%), 인천 서구 ‘엠파크타워’(55건·6.4%) 등에서 많이 발생했다.
김혜림 선임기자 mskim@kmib.co.kr
사고차가 무사고차로 둔갑… 중고차시장 피해자 증가
입력 2015-04-14 1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