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을 현장지휘하는 문무일(54·대전지검장) 팀장은 “수사 대상과 범위를 한정짓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정치권에 전달한 것으로 의심되는 돈과 2012년 박근혜캠프 대선자금의 관련성도 수사할 수 있다는 뜻이다.
특별수사팀은 13일 문 팀장을 포함해 검사 9명, 수사관 10여명으로 된 팀 구성을 마치고 본격 수사에 들어갔다. 문 팀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수사팀으로서는 이 사건의 중요성과 파장이 워낙 중대해 좌고우면할 여지가 없다. 오로지 수사 하나만 보고 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40분 정도의 간담회에서 ‘좌고우면하지 않겠다’는 말을 4차례나 언급했다. 문 팀장은 “김진태 검찰총장이 수사팀에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을 주문했다”면서 “검사직의 양심을 걸고 오로지 수사에 매진한 뒤 결과는 국민의 심판을 받겠다”고 말했다.
수사팀은 성 전 회장 윗옷에서 발견된 금품 메모의 필적을 감정한 결과, 성 전 회장이 직접 작성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통보받았다. 첫 관문은 넘은 셈이다. 수사팀은 대검 과학수사부로부터 성 전 회장이 소지했던 휴대전화 2대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증거조사) 결과도 넘겨받았다. 성 전 회장은 검찰이 지난달 18일 자택 압수수색을 하면서 휴대전화를 압수해 간 이후 회사 직원 명의 전화 2개를 사용했다. 지난 9일 숨지기 전까지 현 정부 유력인사 10여명에게 전화를 걸거나 문자메시지를 보낸 내역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금품 제공 정황을 뒷받침할 만한 구체적 단서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수사팀은 금품 메모에 등장하는 8명 전원을 일단 수사 대상에 올리고, 증거 관계나 공소시효 등을 따져 우선수사 대상을 선정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현재로서는 금품 제공 시점과 전달자까지 지목된 홍준표 경남지사가 1호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수사팀은 이와 함께 유족들과 경남기업 간부들에게 비밀장부 등 성 전 회장이 남긴 추가 자료를 보관하고 있다면 제출해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기존에 경남기업 비리 의혹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는 이날 성 전 회장 장례절차가 마무리된 이후 수사 관련 의혹 제기에 대한 입장을 발표했다. ‘정치적 의도에 따른 표적수사나 별건수사가 아니다’ ‘자원개발 비리와 횡령·배임 혐의를 딜(거래) 하려 했다는 성 전 회장 주장은 근거가 없다’ 등의 내용이다. 검찰 관계자는 “경남기업의 기업비리는 최종 책임자가 성 전 회장이란 판단에 따라 입건 대상자를 최소화하겠다는 것이 기존 방침이었다”며 “이런 원칙 하에서 남은 수사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성완종 리스트 파문] 특별수사팀장 “수사 대상과 범위에 한정은 없다” … 메모, 성 전회장 자필 맞아
입력 2015-04-13 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