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치 분야 대정부질문이 열린 13일 여야는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에 등장한 이완구 국무총리를 상대로 화력을 집중했다. 이 총리는 경남기업에 대한 검찰 수사가 공식화된 이후 성 전 회장으로부터 구명 요청 관련 통화를 나눈 사실은 인정했다. 그러나 “총리는 (수사에) 관여할 수 없다”며 잘라말했다고 해명했다. 그는 검찰 수사에도 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직무정지를 요청하며 목소리를 높였고 새누리당은 이번 사건을 야당이 정쟁의 수단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며 경계했다.
◇李총리,사퇴 거부=이 총리는 “이 사건의 국민적 파급과 걱정을 미뤄볼 때 성역 없는 수사와 함께 한 점 의혹이 있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그 어떤 사람도, 어떤 것도 성역이 있어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검찰이 수사를 한다면 총리도 대상에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검찰의 소환 요청에 응할 것이냐는 질문에 “당연하다”고 답했다.
이 총리는 성 전 회장의 구명로비에 대해서도 잘라 말했다. 그는 “총리에 취임하고 나서 지난 3월 12일 사회기강 확립 차원에서 담화가 발표됐고, 18일 검찰이 경남기업 압수수색에 들어갔다”며 “이후 22일경 고인으로부터 이 사건과 관련해 처음이자 마지막인 전화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성 전 회장이) 여러 억울한 점을 말하기에 ‘국무총리란 자리가 개별사건을 알지 못하고, 법과 원칙에 따라서 진행되기 때문에 억울하고 미흡한 점이 있으면 검찰에 가서 설명하라’는 원칙적인 말씀을 드린 적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억울한 점이 있거나 답답한 점이 있으면 검찰에서 가서 말씀하시라고 말해 (성 전 회장이) 서운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총리는 “(리스트에) 왜 이름이 나왔는지 이해가 가진 않는다”며 “섭섭함에 대한 토로가 아니었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정청래 의원은 “총리는 법무부장관을 통해서 직·간접적으로 수사를 지휘·조율할 수 있는 위치에 있고, 대통령 비서실장은 민정수석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수사에 관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면서 “총리와 이병기 실장은 그 직에서 사퇴하고 수사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잠시 총리직을 중지하고 떳떳하게 검찰 수사를 받아 무죄를 입증하고 다시 총리직을 수행할 배포가 없느냐”고 압박하기도 했다. 이 총리는 “총리는 검찰 수사에 관여할 수 없다”며 “한 나라의 국무총리가 메모에 연유도 모르는 이름이 있다고 해서 이렇게 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野,성완종 친분-與,특별사면 부각=야당은 성 전 회장이 1997년 신한국당 재정위원으로 활동할 당시 이 총리가 원내부총무로 함께 근무한 경력을 들어 친분 관계도 따져 물었다. 이 총리는 “직접 만난 건 2003~2004년쯤이고, 2013년 합당으로 19대 국회서 의정활동을 같이 한 것 뿐”이라고 답했다. 그는 성 전 회장이 2000년 결성한 충청포럼에 대해서도 “기업하는 분이 주도하는 포럼에 정치인으로서 가입하는 것이 부담스러워서 가입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 총리는 “2006년 도지사 이후로, 2013년과 2014년을 조사해보니 경남기업과 고인으로부터 후원금을 받은 것은 없다”며 “중앙선관위가 서류를 보관하고 있으니 확인해도 좋다”고 했다. 그는 “성 전 회장으로부터 단 돈 1원도 받은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새정치연합 홍영표 의원은 “국무총리 인사청문회 당시 충청포럼이 (이 총리를 돕기 위해) 수천장의 플래카드를 걸었다. 이를 성 전 회장 중심으로 했다”고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 총리는 “플래카드 관련 충청포럼이나 성 전 회장과 전화를 한 적도 없다”며 “필요하면 휴대전화를 제출하겠다”고 했다.
여당은 성 전 회장이 노무현정부 시절 두 차례 특별사면을 받았던 점을 집중 부각했다.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은 “성 전 회장이 두 차례 수사와 처벌을 거친 후 상고심을 포기한 것에는 여러 사정이 있겠지만 그 이후에 사면한 것은 누가 봐도 의혹을 제기할 수 있다”며 “검찰이 이 부분도 주도면밀하게 봐야한다”고 지적했다. 박민식 의원은 황교안 법무부 장관을 상대로 “검찰 수사 대신 바로 특검을 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요청했고, 김성태 의원은 이 총리를 향해 “왜 이렇게 말도 많고 탈도 많느냐”며 꾸짖기도 했다.
[관련기사 보기]
전웅빈 최승욱 기자 imung@kmib.co.kr
[성완종 리스트 파문] 이완구 총리 “수사 원칙론 말했더니 성 전회장 서운해 했다”
입력 2015-04-13 1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