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숨통을 터 가던 청와대와 정부, 새누리당의 고위급 소통 채널이 막혀 버렸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메모에 고위 당정청 회의의 멤버인 이완구 국무총리와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의 이름도 올라 있기 때문이다. 이 총리와 이 실장이 향후 검찰 수사를 받을 수도 있는 상황에서 고위 당정청 회동이 이뤄질 경우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우려가 영향을 미쳤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13일 기자들과 만나 “명단에 이름이 있는 사람하고 지금 만나 얘기해서 또 다른 의혹을 만들 수는 없는 것”이라며 “(고위 당정청은) 할 생각이 없다”고 못을 박았다.
김 대표는 ‘검찰의 성역 없는 철저한 수사’라는 기본 원칙을 견지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 성품을 잘 알지 않느냐”면서 “이럴 때 성역이 있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의 고위 당정청 회동 중단 방침은 검찰의 수사 결과를 조용히 지켜보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김 대표는 지난 12일 긴급 기자회견에서도 ‘성완종 리스트’ 파문이 터진 이후 의혹이 제기된 고위급 인사들과 당분간 어떤 협의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총리와 이 실장을 둘러싼 의혹이 깔끔히 매듭지어질 때까지 고위 당정청 회동은 올스톱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위 당정청 회동 중단과 별개로 당정청이 주요 국정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정책조정협의회는 정상적으로 운영될 전망이다. 정책조정협의회는 고위 당정청 회의보다는 낮은 레벨의 회의체다. 오는 19일 유승민 원내대표 주재로 정책조정협의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원유철 정책위의장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예정대로 당정청 정책조정협의회는 지속적으로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많은 국정과제와 개혁과제가 있다”면서 “특히 민생 살리기 법안이 많다”고 설명했다.
정책조정협의회의 개최는 공무원연금 개혁 등 국정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당정청 차원의 정책조율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여권 내부의 공감대가 이뤄진 결과로 풀이된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성완종 리스트 파문] 숨통 트이던 당·정·청 소통 채널 ´올스톱´
입력 2015-04-13 1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