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만 강원도’ 각 시·군 인구 늘리기 사활 걸었다

입력 2015-04-13 15:02
강원도내 각 시·군이 인구 늘리기에 사활을 걸었다. 인구가 감소하면 그 만큼 지자체가 중앙정부로부터 받는 지방교부세가 줄고, 국회의원 선거구가 통폐합되는 등 정치·경제·사회 등 다방면에서 잃는 게 많기 때문이다.

화천군은 13일부터 오는 5월 22일까지를 ‘2015년 상반기 인구 늘리기 집중 추진기간’으로 정하고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기로 했다.

화천군에 따르면 이번 인구 늘리기 정책은 행정과 유관기관, 행정과 군부대 간 ‘1대 1’로 짝지어 시책 취지 설명, 전입가능자 현황파악 등 심층적인 전략으로 추진된다. 이와 함께 군인 및 군가족의 주소를 이전하는 ‘軍(군)의 우리 군민화 운동’을 지속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화천군은 지난해 12월 한 달간 인구 증가 시책을 집중 추진해 2187명이 늘어나 1992년 이후 23년 만에 인구 2만7163명을 회복했다.

정선군은 인구 4만명 회복을 목표로 관내 기관단체와 기업체의 미전입 직원을 대상으로 ‘정선군민되기 운동’을 벌인다. 지난달 말 현재 정선 인구는 3만9291명으로 지난해 말 3만9425명과 비교해 134명이 감소하는 등 2011년 이후 지속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선군은 14일 강원랜드호텔과 사원아파트, 고한읍 사옥 등에서 군민되기 캠페인을 전개하는 등 강원랜드 임직원을 대상으로 인구 늘리기에 나설 예정이다. 또한 관내 기관과 단체 등을 중심으로 인구 늘리기에 나선다.

전정환 군수는 “인구 감소로 행정기구 및 각종 국고지원이 감소돼 행정여건 악화는 물론 지역경제 성장이 위축되고 있다”면서 “정선군민되기 운동을 범 군민 운동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원도는 올해 목표를 160만명으로 정하고 인구 늘리기에 주력키로 했다. 도는 군장병 도민화 추진, 주소 이전 학생 인센티브 제공, 귀농 귀촌 지원 강화를 위한 조례 제정,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등 17개 세부사업을 추진한다.

도 관계자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역주도형 인구증가시책을 지속적으로 발굴 추진하고, 연말에는 인구증가율, 우수시책 발굴실적 등을 시군별로 평가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도내 인구는 2007년 150만3000명에서 지난해 말 155만8000명으로 늘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