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가 13일 내놓은 ‘최근 위안화의 국제화 동향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09년 4월부터 위안화에 대한 무역결제를 허용한 이후 매년 30%에 육박하는 신장률을 기록하여 지난해 위안화를 통한 수출입 결제액이 5.9조 위안에 달했다.
이는 2011년의 1.6조 위안에 비해 3.7배가 늘어난 것이다. 전체 중국 무역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6.9%에서 22.3%로 뛰어 올랐다. 특히 지난해에는 위안화 결제비중이 전년보다 10.7%p 높아져 가속도를 받는 모양새다.
이처럼 위안화 결제비중이 높아진 것은 중국 정부가 지역별로 제한을 두었던 기업의 위안화 무역결제와 국제투자에 대한 규제를 2011년에 완전히 제거한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에 위안화는 캐나다 달러와 호주 달러를 제치고 사상 처음으로 전세계 결제통화 순위에서 5위에 진입했으며, 조만간 일본의 엔화도 추월할 것으로 전망이다. 2013년 1월에만 해도 위안화의 국제 결제통화 비중은 0.63%로 순위는 13위에 불과했다.
위안화의 국제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으나 한국 기업들의 위안화 무역결제 비중은 2%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체 거래액의 대부분(95%)을 달러화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역협회는 “중국 내수시장에 대한 공략이 시급한 상황에서 위안화 결제를 통해 중국 바이어에게 환전수수료를 절감해 주고 환율변동에 대한 리스크를 제거하여 안정적인 마케팅을 유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위안화 결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중국 위안화 무역결제 비중 22% 돌파… 세계 5대 결제통화 진입
입력 2015-04-13 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