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메뚜기장·달리기장·똑똑이장 등 다양한 형태의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13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발간 '통일시대' 4월호에 기고한 '북한에 부는 시장화 바람'이란 글에서 “북한에서 국가 공급망이 무너지면서 상품 유통시장이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며 “몇년전만 하더라도 300여개였던 장마당이 무려 400개를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조 위원은 “시장화 바람을 타고 북한의 곳곳에 길거리 매대가 늘어나고 있다”며 “주변 식당이나 기업소에서 돈벌이 장사를 하기 위해 길거리로 나서고 있다”고 소개했다.
조 위원에 따르면 단속을 피해 메뚜기처럼 뛰어서 다른 곳으로 돌아다니면서 판매하는 암시장은 메뚜기 시장으로 불린다.
허가받지 못한 장사를 하다 망보는 사람이 단속원이 떴다고 알려주면 상품 보따리를 싸서 다른 곳에 도망가 다시 장사를 하는 방식은 달리기장으로 부른다.
똑똑이장은 일종의 방문 판매로 집집마다 방문해 문을 똑똑 두드려 물건을 거래하는 것을 가리킨다. 똑똑이장은 주로 불법상품을 유통하는 경우에 활용된다는 게 조 위원의 설명이다.
조 위원의 설명에 따르면 금융 분야에서는 전문 사채업자인 돈주들이 자금 사정이 어려운 개인뿐만 아니라 공장·기업소·협동단체 등에 고금리로 돈을 빌려주기도 한다. 신용도에 따라 사채 금리가 결정되는데 연 이자가 100%가 넘는 경우도 다반사라고 한다.
상점과 빵집, 맥줏집 등에서는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이른바 포인트 카드도 도입됐다. 한번 찾아온 손님에게 할인 쿠폰을 발행해 또다시 찾게끔 하고 있다고 조 위원은 설명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북한에선 메뚜기장이 뜨고 있다?”北,단속 피해 다니는 암시장 확대
입력 2015-04-13 0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