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야권 인사도 제2의 성완종 리스트에?”野,특검 공세 안 펴는 배경

입력 2015-04-12 16:16

새정치민주연합이 ‘성완종 리스트’에 대한 공세의 날을 바짝 세우지 않고 있다. 일각에선 성 전 회장에게 돈을 건네받은 ‘제2의 성완종 리스트’에 야권인사도 포함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12일 친박게이트 대책위원회-원내대표단 긴급 연석회의를 열고 박근혜 정부에 대한 공세에 힘을 실었다.
대책위원장인 전병헌 최고위원은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위해 지난 대선 당시 총괄선대본부장으로서 김무성 대표가 2012년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자금의 실체를 밝히는게 도리”라며 “그렇지 않으면 지금의 위기를 빨리 마무리하려는 정치적 액션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전 최고위원은 또 “오늘 연석회의를 통해 내일 대정부질문 질의 기조 다듬어갈 것”이라며 “성완종 리스트 8명 중 1명인 이완구 총리가 국회에 출석한다. 거짓말을 한다면 인사청문회 이후 가장 어렵고 힘든 시간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지도부가 아직 ‘특검’을 적극 언급하지는 않고 있다. 물론 김무성 대표가 이날 발언으로 먼저 특검에 선을 긋기는 했지만, 그간 여당에 불리한 사안마다 야당이 나서 특검을 주장했던 것을 고려할 때, 결코 강한 공세라고 할 수 없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 대해 여당은 물론 야당도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실제 성 전 회장은 노무현 정부 때 두차례나 특별사면을 받았다. 지난 2004년 자민련에 불법 정치자금 16억원을 제공한 혐의로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으나 2005년 5월 첫 번째 사면을 받았다. 이어 2007년 11월 ‘행담도 개발 비리사건’에 연루돼 징역 6개월,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은지 약 한 달 뒤 두 번째 사면을 받았다.
특히 두 번째 특별사면 당시, 공개 명단에 포함돼지 않았던 성 전 회장이 사면을 받은 사실이 밝혀지면서 특혜 논란이 일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