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또 다시 잔인한 4월… 박대통령의 해법은?

입력 2015-04-12 16:49

집권 3년차 개혁과제 이행을 위해 매진하던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다시 빨간불이 켜졌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금품 제공 의혹이 연일 메가톤급 이슈로 부각되고, 친박(친박근혜) 인사들이 주요 타깃이 되면서 박 대통령이 또 다른 정치적 시련을 맞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102년 대선자금 의혹? 사실여부 떠나 곤혹=청와대를 더욱 곤혹스럽게 하는 것은 성 전 회장의 금품 제공 의혹이 2012년 당시 박근혜 대선 후보캠프로까지 번지고 있다는 점이다. 성 전 회장이 당시 새누리당 선대위 조직총괄본부장이었던 홍문종 의원에게 2억원을 건넸다고 주장한 언론 보도가 나오자, 청와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전에 공개됐던 성 전 회장 주장은 2007년 옛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때였지만, 이후 2012년 대선까지 거론됐고 용도도 대선자금으로 사용됐을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홍 의원이 이를 전면 부인하고 청와대도 현직 관계자들이 직접 연관된 것은 아니어서 공식입장이나 논평을 내진 않았다. 그러나 곤혹스러운 기색은 역력하다. 집권 3년차까지 그동안 권력형 비리에서 자유로웠던 박근혜 정부에 자칫 타격이 가지는 않을지 노심초사하는 상황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2일 관련 의혹에 대해 “우리가 무슨 입장을 낼 수 있겠느냐”고 말을 아꼈다.

◇또다시 잔인한 4월인가, 국정운영 차질 우려 고심=청와대는 거론된 의혹들이 아직까지 성 전 회장 주장에 따른 의혹 수준이라면서도 야당의 공세가 계속 이어질 경우 다시 한번 민심 이반까지 갈 수 있다며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연말 터진 ‘정윤회씨 문건’ 파문으로 한동안 정상적인 국정운영이 불가능했던 뼈아픈 기억 탓에 이번 스캔들의 타격이 어디까지 갈지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둘러싼 여론이 계속 악화될 경우 공무원연금 개혁, 노동시장 구조개혁 등 4월에 밀어붙여야 할 개혁과제 이행에 힘이 빠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4월 발생한 세월호 참사에 이어 한창 경제 활성화에 ‘올인’해야 하는 시점에 터진 돌발악재가 터져 난감하다는 시각도 많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난해 세월호라는 아픔이 있었고 문건 파동이 터졌는데, 이제 다시 의혹들이 양산되고 있는 상황이 난감하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해법은? 엄정한 검찰 수사?=박 대통령이 이런 국정 위기를 어떻게 돌파할지도 관심이다. 일단 현재로선 성 전 회장의 주장에 대한 관련자들의 반박 또는 부인 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선 박 대통령이나 청와대로선 적극적으로 나서서 개입하는 것 자체가 오히려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관련 의혹이 갈수록 커지고 여론 또한 심상치 않게 돌아갈 경우 박 대통령은 별도 언급을 통해 ‘엄정한 검찰의 수사’를 촉구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에 대한 별다른 언급 없이 오는 16일 중남미 4개국 순방을 위해 출국할 경우 오히려 여론의 역풍 속에 국정동력 상실이라는 타격을 입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기자회견을 통해 ‘철저하고 신속한 검찰 수사’를 강조한 것도 청와대와의 긴밀한 협의 뒤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