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갑질 요구 수용 '불가'

입력 2015-04-12 16:46
“오전 10시에 열리는 국회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오전 8시 이전 비행기 증편해 달라. KTX 울산역 주차장에 기관별로 의전전용 주차장을 만들어 달라.”

울산시는 울산혁신도시로 본사를 이전한 7개 공공기관 협의체인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협의회’에서 요구한 난감한 민원에 대해 불가 방침을 정했다.

12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시는 최근 공공기관 협의체에 ‘형평성 논란 등이 있어 상당수 수용하기 어렵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협의회는 한국석유공사, 한국동서발전, 에너지경제연구원,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근로복지공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지난달 18일 울산시청에서 열린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협의회에서 ‘KTX 울산역에 전용 주차공간과 의전차량 대기공간을 마련’ ‘신규 분양 아파트 특별공급’ ‘국회 예산심의 때는 오전 항공편 증편’ ‘독신자에 대해 지원금 50~100만원’ 등 아연실색하게 하는 요구들을 막 쏟아 냈다.

이에 대해 지역사회 일각에서는 ‘공공기관의 갑질’이라는 비난이 나오기도 했다.

울산시는 이전기관 직원의 정착을 위해 고등학생 자녀가 전학을 오면 장학금 100만원, 혁신도시 내에 초·중·고교 7개를 신설하고 원어민 보조교사와 영어회화 전문 강사 배치, 혁신도시 내 아파트 특별분양 등의 각종 특혜들을 제공하고 있다. 일부 공공기관 직원들은 분양권을 되팔아 최대 5000만원의 시세차익을 챙기다 지적되기도 했다.

하지만 울산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직원들의 가족 동반 이주율은 22%로 전국 12개 혁신도시 중 하위권에 속하며, 지역인재 채용률은 올해 5.1%로 꼴찌를 기록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들이 요구하는 민원들은 대부분 시가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고 현실적 근거나 형평성을 이유로 들어주기 어려운 입장”이라면서 “일부 공공기관들이 지역여론을 무시하고 수도권 중심적 사고에 박혀”있다고 지적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