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인한 체감경기 미회복과 정년연장·통상임금 범위 확대 등 기업부담을 증가시키는 요인들로 인해 기업들은 여전히 고용창출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내년부터 정년 60세 의무화의 적용을 받는 대기업의 경우 ‘정년연장·통상임금 문제’가 신규인력 채용 확대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100인 이상 377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5년 신규인력 채용동태 및 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기업들의 신규인력 채용(예상) 규모는 전년대비 3.6%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규모별로는 대기업(300인 이상)이 2014년 0.5% 증가에서 2015년 3.4% 감소로 전환되었으며, 중소기업(100~299인)은 2014년 1.7% 감소에서 2015년 6.5% 감소로 감소폭이 확대됐다.
학력별 신규채용 규모 역시 대졸(-3.1%), 고졸(-4.9%) 모두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신규인력 채용계획이 있거나 이미 채용했다’고 응답한 기업은 59.1%로, 최근 5년 내(2011~2015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채용계획 미결정·유동적’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25.4%, ‘채용계획이 없다’는 15.5%로 나타났다. 2014년과 비교하면 ‘채용계획 있음’은 13.2% 포인트 감소한 반면, ‘미결정·유동적’, ‘채용계획 없음’ 모두 6.6%포인트 증가했다.
올해 신규인력을 채용하지 않거나, 채용규모를 줄일 계획인 기업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체감경기 미회복’(28.2%), ‘정년연장·통상임금 문제’(26.9%), ‘정치·경제 불확실성 증가’(14.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기업은 ‘정년연장·통상임금 문제’(36.5%), 중소기업은 ‘체감경기 미회복’(28.0%)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올해 기업들의 신규채용 근로자 중 신입직은 72.9%, 경력직은 27.1%를 차지할 것으로 조사됐다. 경력직 채용 비율은 2014년 25.2%에서 27.1%로 1.9% 포인트 증가해 경력직 선호 현상이 지속됐다.
신입직원의 고용형태는 정규직 90.6%, 비정규직 9.4% 였다. 규모별 정규직 채용 비중은 대기업(91.1%)이 중소기업(88.3%)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산업별로는 비제조업(93.5%)이 제조업(89.9%)보다 높았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올해 신규인력 채용, 전년대비 3.6% 감소, 59.1% 기업만 채용계획 세워
입력 2015-04-12 11:04